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계에서 하얀 플라스틱이 스파게티 면발처럼 뽑혀 나온다. 바닥에 켜켜이 쌓이더니 신발의 형태가 된다. 아디다스가 5월 선보인 운동화 ‘알파엣지4D’다. 이 신발은 무려 ‘4D 프린팅’ 기술로 만들었단다. 액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프린터로 인쇄한 뒤, 여기에 빛과 산소를 더하면 신발은 완벽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주 오래 전 인간은 태양이 떠 있는 시간에만 야외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토머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고 뒤이어 형광등이 개발되면서, 인류는 낮과 밤 구분 없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자유를 얻었습니다. 말하자면 인류는 인공조명의 탄생에 힘입어 눈부신 경제적, 산업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편집자 주경찰은 올해 5월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유력한 살해 용의자를 체포했다. 끈질긴 과학수사 덕분이었다. 하지만 제주지방법원은 증거 불충분 등을 이유로 용의자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범인을 특정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과학수사팀의 수사 과정을 공개한다. 2009년 2월 1 ... ...
- [과학뉴스] 무당벌레까지 느끼는 인공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로봇이 물렁한 토마토를 터뜨리지 않고 집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촉감’이에요. 토마토의 질감을 민감하게 느껴야 토마토가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터지지 않을 정도의 정교한 힘을 줄 수 있거든요. 이처럼 로봇에겐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인공 피부가 필요하답니다.지금까지 개발된 인 ...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안녕~! 어과동의 마스코트,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최근 드디어 타임머신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 이걸 타고 6만 5000년 전으로 돌아가 옛날 사람들의 생활을 살펴볼 거야. 어라? 그런데, 저 사람…, 벽에 그림을 그리고 있어! 저 때에도 화가가 있었다니, 정말 놀라운데! 한번 말을 걸어 볼까? 일리 :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차세대 약물로 주목받는 펩타이드 치료제의 약효를 대폭 늘릴 기술이 개발됐다. 크리스티안 헤이니스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은 혈액에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펩타이드 약물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스트리’ 4월 30일자에 발표했다. 펩타이드는 아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다. 흡사 윈터 솔져의 의수 같기도 하고, 또 얼핏 보면 타노스의 인피니트 건틀렛 같기도 하다. 하지만 사실 이 장갑은 손 움직임의 비밀을 밝혀낼 열쇠다. 1.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진이 개발한 MRI 장갑.2. MRI 장갑을 착용한 왼손의 모습.3. MRI 장갑으로 왼손의 뼈와 근육. 관절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 m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 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돼 지금까지 사용해온 1 A(암페어)의 정의는 모호하고 길었다. ‘무한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주 - 이 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그램’ 20주년을 맞아 최근 과학자들이 논의 중인 소행성 충돌 방어 시나리오를 토대로 집필한 SF 소설임을 알려드립니다. 박사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의 이름은 NEOT였다. 영문 명칭의 알파벳 약자를 땄을 때, 그것을 발음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때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