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스위치가 트랜지스터다. 물병을 강제로 비우지 않는 한 한번 물병에 들어온 물방울은
바깥
으로 새지 않는다. 플래시메모리가 전원이 나가도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는 것은 이런 방식이다.플래시 다음은 미지수그런데 저장된 전자가 스위치를 타고 밖으로 빠져나오는 경우도 있다. 서울대 물리학부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리관에 어느 정도 수은이 차고 막힌 끝부분의 공기가
바깥
과 격리되더라도 그 압력이
바깥
공기와 같아지면 유리관을 고정하고 수은을 더 부었다. 유리관에서 막힌 끝부분에 있는 공기의 부피가 원래 부피의 절반가량이 될 때까지 수은을 계속 채웠다. 이 때 더 채워 넣은 수은의 양을 쟀더니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근처를 통과하면서 계절에 따라 북한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쿠로시오 난류는 방향을
바깥
쪽으로 돌리면서 따뜻한 물덩어리가 울릉도와 독도 근처를 지나게 된다. 한국해양연구원 김웅서 박사는 “수온이 2~3℃가량 낮은 봄철에는 자리돔만 발견된다”며 “다른 아열대어종은 아마 겨울 동안 더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빛날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해준다.타란툴라성운 주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성운의
바깥
쪽으로 접근해 오는 몇몇 검은 구름이 눈에 띈다. 가스와 구름이 뭉쳐진 덩어리가 뒤쪽의 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대상들이다. 몸집이 큰 타란툴라거미는 치명적인 독을 이용해 쥐새끼까지 잡아먹기도 한다고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9일에 충을 맞이한다. 즉 지구에서 볼 때 태양과 정반대에 있게 된다. 세레스 또한 지구
바깥
쪽에 있는 외행성이기 때문에 세레스가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의 정반대편에 있을 때 가장 잘 보인다. 즉 충의 위치에 있을 때 가장 잘 보이므로 이 시점을 전후해 2~3달의 기간이 최적의 시기가 된다.현재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액체로 채워진 공간 속에 기포인 별이 떠있다. 그리고 기포별이 빛을 내려면 플라스크
바깥
에서 초음파를 때려야한다.‘음파발광’(sonoluminescence)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1933년 처음 발견됐으나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잊혀졌다가 1990년대 들어서야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45초각으로 태양과 가장 가까운 근일점 때의 목성 크기 50초각에 비해 약 10% 작다.지구
바깥
쪽에 있는 외행성이 충의 위치에 오면, 최고의 관측조건을 제공한다. 지구와 행성이 가장 가까운 위치이며, 태양의 반대편에 있어서 햇빛의 간섭을 가장 적게 받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또, 밤 12시에 정남에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다이슨사는 급성장해 전세계 청소기 시장을 점령했다. 큰 먼지는 필터가 달린
바깥
쪽 통이 돌아가면서 통과되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진다. 따라서 필터가 막히지 않아 흡입력이 유지된다. 필터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깔대기모양의 안쪽 통이 돌아가면서 원심력이 큰 좁은 쪽으로 이동해 역시 아래로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지난번에 인도네시아에서 엄청난 규모의 지진이 일어난 거 알고 있지? 지구의 가장
바깥
부분인 지각은 몇 개의 커다란 판으로 이뤄져 있대. 수업시간에 ‘판 구조론’이란 것을 배웠는데 라빌레트 과학관에서 뭘 본 줄 알아? 손으로 여러 판을 움직이는 장치야. 둥근 운전대를 돌리면 지구의 역사에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미친 이론이다. 프로이드는 마음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눠 의식은 정신의 가장
바깥
부분에서 외부 세계나 신체 내부에서 오는 자극을 지각하는 부분이고, 전의식은 의식 밖에 있지만 정신을 집중하면 기억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또한 무의식은 본능적인 욕구와 밀접하게 연관돼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