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 이제 카트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안쪽바퀴를 살짝 들어 준다. 결국 코너를 돌 때 카트의 안쪽 바퀴는 살짝 들리면서
바깥
쪽 바퀴에 끌려가게 된다.카트에는 기어가 없다?!일반 자동차와는 달리 카트에는 기어가 없다. 따라서 자동차처럼 변속을 하려면 톱니바퀴 자체를 바꿔야한다. 일반적으로 카트 엔진에 달려 있는 톱니바퀴의 ... ...
되돌릴 수 없는 석굴암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했습니다.하지만 일제 시대에 일본인들이 석굴암을 보수하던 중 지하수의 물줄기를
바깥
쪽으로 돌려놓는 바람에 오히려 그 이후부터는 항상 습기가 차고 이끼가 끼고 있어요. 게다가 콘크리트로 대충 발라버린 조잡한 보수 기술은 원래의 모습을 잃게 만들어 버렸답니다. 현대 과학으로도 예전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착물(錯體)의 중심 이온의
바깥
껍질전자궤도(外殼電子軌道)는 리간드장(場) 속에서 분열한다 그러나 유기화합물과는 달리 궤도에너지의 준위차(準位差)가 크지 않으므로 전자의 배치는 장(場)에 따라 분열한 궤도에너지준위의 차 ∆E와 전자쌍(電子雙) 형성에 필요한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유선형 몸통이 지그재그가 돼.”“정말?”“다시 유선형 몸통이 되려면 다시 팔을 풀고
바깥
으로 내놓으면 돼.”“신기하다.”그렇게 DNA의 위기는 지나갔다. ‘동화처럼’ DNA들은 그 후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이야기가···. 유전정보를 담은 DNA는 생체 안에서 보통 이중나선을 이루고 있다. 나선의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등에모기의 일종으로 흡혈(吸血)할 때 감염된다주로 숙주의 흉부 및 후지(後肢)의
바깥
쪽 피하조직에 기생하고, 감염 부위에는 유충에 의한 비후(肥厚)가 일어나 지름 5cm 크기의 결절(結節)이 생긴다이 피부병에 의해 가축은 육질(肉質)이 떨어진다나자식물 은행류(類)에 속하는 화석식물 주로 중생대 ... ...
정자의 든든한 후원자 전립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있다. 배
바깥
에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쉽게 다칠 수 있다. 이런 위험에도 불구하고
바깥
에 있는 까닭은 정자를 만들기 위해서다. 음낭 속에는 고환이 있고, 고환에서 정자를 만든다. 태아 초기에 고환은 배 속에 있다. 고환은 시원한 곳에서만 정자를 제대로 만들 수 있는데, 배 속은 너무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전달하지 못하는 물질을 선택하여 아이스박스를 만들고 공기의 대류현상을 막기 위하여
바깥
공기와 내부 공기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각각의 재료의 특징이 있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를 차단시켜 아이스박스 내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하며 유사분열(有絲分裂)을 볼 수 있고 세균의 침입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분자의
바깥
껍질전자(外殼電子)속에서 같은 궤도로 들어가 전자쌍을 이루면서 두 원자 간의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전자쌍 비공유(非共有) 전자쌍이라고도 한다 탄성고무와 그 유사물질의 특이한 탄성 이 종류의 고무는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데이터 시스템 처리를 담당하고 있다.찬드라의 매력이 뭘까. 김 박사는 “우리 은하
바깥
에 있는 X선을 감지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찬드라가 등장하기 전까지 외부은하를 정밀하게 관측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였다. 이 때문에 우주에서 은하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하는지 알 방법이 없었다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발표했고, 표박사는 지난해 12월 목성의 가장 안쪽 위성 ‘아말데아’가 먼
바깥
쪽에서 만들어진 후 현재의 자리로 이동했다는 증거를 찾아내 미국의 과학전문지‘사이언스’에 발표했다.서울대 천문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김삼 연구원은 한국과학재단 해외공동연구지원사업덕분에 지난해 6월부터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