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
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전자가 투과하지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보려면 얇게 가공해 또 다른 시료를 만들어야 한다. 두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청소기에는 크게 두 가지 센서가 장착됐다. 사람의 눈처럼
물체
를 직접 보며 장애물을 피하고 길을 기억하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를 좌표로 바꿔 길을 인지하는 ‘자이로 센서’다.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면서 카메라 센서가 작동하지 못하는 가구 밑의 어두운 구역도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했다.연이 날아오를 수 있는 것은 바로 ‘양력’ 때문이다. 양력은 공기같은 유체 안에서
물체
가 수직방향으로 받는 힘이다. 연은 위쪽이 둥글기 때문에 아래쪽에 비해 공기가 더 빨리 지나간다. 그 결과 속력에 따른 기압차가 생기면서 연을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생긴다.양력의 원리를 비행기에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개발한 로봇 ‘마루3’은 사람을 따라서 동작하고, 일본의 ‘텔레사르5’ 로봇은 어떤
물체
를 잡았을 때 ‘차갑다’, ‘뜨겁다’는 감각까지 사람이 느낄 수 있게 해. 하지만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이 똑같이 느끼게 할 순 없어. 아직 사람의 신경체계를 다 이해하진 못했거든.실현된다면? 실제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같다. 그러나 고정된
물체
앞에서 평면거울을 이동시키면, 거울 속의 모습이 실제의
물체
보다 2배 빠른 속도로 움직이게 된다.예를 들어 거울을 백설공주 쪽으로 a/2만큼 이동시켰다고 하자. 그러면 거울 속 모습은 백설공주와 거울과의 거리(a/2)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거울이 이동한 거리(a/2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듯 보였다.이렇게 커다란 배는 평소에 어떻게 중심을 유지하는 걸까?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체
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인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럼에도 배가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배를 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인 부력 덕분이다. 지구에서 배를 잡아당기는 중력과, 물 위로 띄우는 부력의 크기가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
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감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문이 신호증폭기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지문 형성 과정 아직 잘 몰라지난 2007년 스위스의 한 여성은 ... ...
왕눈이 대왕오징어 “눈이 커야 살아남아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눈이 커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닐슨은 “물의 광학적 특성 때문에
물체
와의 거리를 인식하기가 매우 힘들다”며 “눈이 크다고 시력이 더 좋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연구팀은 컴퓨터 모델로 수심에 따라 눈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어둡고 깊은 바다에서 다가오는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방향이 자주 바뀔수록 제가 춤을 추는 횟수가 느는 걸 관찰했어요. 또 춤을 출 때 주변의
물체
를 살짝 옮기거나 빛의 위치를 바꾸면 제가 방향을 많이 바꾼다는 사실도 알아냈죠. 연구팀은 이 실험으로 제가 춤을 추면서 주변환경과 태양의 위치를 순간적으로 기억해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다른
물체
를 공전하는 어떤
물체
의 속도를 궤도의 긴 반지름과 초점으로부터
물체
까지의 거리로 나타내는 방정식이다.3. 외계인과의 대화는 수학으로!요원 B가 잘난 척을 했군. 그 친구 능력은 있지만 아직 내 경험을 따라오긴 힘들지. 특히 언어 같은 건 오랜 시간 다져놓을 필요가 있는 능력이라구.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