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만 브레인푸드는 학술용어라기보다는 ‘마케팅 용어’에 가깝습니다. 과학자들은 논문에 브레인푸드라는 용어를 쓰지는 않더군요.브레인푸드, 효과 있지만 맹신은 금물브레인푸드를 뇌기능 발달과 개선, 그리고 뇌 질병 예방에 도움을 주거나 줄 가능성이 있는 음식으로 정의하고 과학적으로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말한 적 있다. 와일즈 교수가 1995년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발표한 증명과정 논문을 보면 무려 109페이지에 이른다(DOI:10.2307/2118559). 페르마에게 정말 여백이 부족했다면, 아마 엄청나게 부족했을 것이다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2006년 8월, 이전까지 행성으로 인정됐던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했다.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며, 나머지 여덟 개만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했다. 그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지난 1월, 미국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플래닛 나인이 명왕성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있다면 역시 왜행성일 거라고 주장한다. 플래닛 나인이 ... ...
-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단백질이 아닌 전령 RNA(mRNA)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 ... 결합하는 단백질이 세포 주기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은 ‘몰레큘러 셀’ 온라인판 5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 [과학뉴스] 우리나라 신생아 5.5%가 기형아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993~1994년 1만 명당 9.7명에서 2009~2010년 117.9명으로 크게 증가했다.연구팀은 논문에서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심장결손 진단을 받은 출생아가 크게 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러나 일부 선천성기형에는 환경오염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BMC 임신과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결과와 컴퓨터 예측 결과를 비교했을 때는 90% 안팎의 일치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포실험 결과와 컴퓨터 구조 분석을 함께 적용하면 예측 모델의 정확도가 평균적으로 81~86%로 나타났으며, 이는 동물모델의 77~84%보다 높은 정확도”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최근엔 알파고에 적용된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가상 실험실로 보고 게임 내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해 보려는 것이다. 논문 제1저자인 박건우 연구원은 “다른 성별로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어떤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 궁금했다”며 연구 동기를 밝혔다.데이터 분석 결과, 이들은 반대 성별의 이점을 누리기 위해 다른 성별의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플래닛 나인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다. 아직까지 망원경으로도 관측하지 못했다. 그 대신 해왕성을 찾아냈을 때와 비슷한 과정으로 찾아냈다. 수학으로 궤도를 먼저 계산한 것이다.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카메라가 달린 LSST 망원 ...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미국 해군수중전투연구센터의 제스 벨든 박사와 미국 유타 주립대 기계항공우주공학과의 랜디 허드 교수 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가장 알맞은 돌멩이의 모양을 찾는 실험을 했어요. 또 물수제비가 생기는 과정을 관찰해 돌이 어떻게 수면을 튕겨 날아가는지 원리를 밝히고, 물수제비 모양을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