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잉여
찌꺼기
여분
잔여
잔류
잔액
기타
d라이브러리
"
나머지
"(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용감한 새가 잘 잡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구애행동을 보였다. 이들에게 흰 종이를 갖다 대자 50%는구애의 강도를 낮춘 반면,
나머지
50%는 격렬한 구애행동을 계속했다. 연구팀은 구애행동의 강도를 낮춘 이유는 갑작스런 환경 변화에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다음엔 암컷이 있는 새장을 수컷의 둥지들 사이에 둬 수컷들이 ... ...
‘친사회적인’ 게임하면 친절해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풀도록 했다. 각 팀에서 1명이 다양한 난이도의 퍼즐 가운데 하나를 골라 문제를 내고
나머지
1명이 퍼즐을 푸는 방식이다. 퍼즐을 푼 사람에게는 10달러의 상금을 줬다. 문제를 낸 사람에게는 별도의 보상을 하지 않았다.그 결과 동료와 협력이 필요한 게임을 즐긴 청소년들은 동료에게 가장 쉬운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m) 이하인 꽃가루가 꽃밥 속에 수천 개씩 들어 있지만 모두 수분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나머지
는 토양 입자인 실트(지름 2∼20㎛)나 점토(지름 4㎛ 이하)와 함께 바람이나 물을 타고 습한 곳으로 운반되다 퇴적돼 ‘꽃가루 화석’이 된다.꽃가루, 수만 년간 보존되는 이유꽃가루는 식물 중에서도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가까이에서 지켜본 사람으로 하라.-> 사실을 바탕으로 추천하는 수험생의 개성을 살려라.
나머지
서류가 수험생이 자신의 열정을 소개하고 그것을 증명하는 자료라면, 추천서는 지원자의 주변 사람이 ‘본 학생은 지원한 학과에 당연히 합격할 만큼 열심히 노력했다’고 제삼자 입장에서 증명하는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손상된 달팽이관의 기능을 대신한다. 인공와우의 일부는 귀 뒤의 두피 밑에 장착하고
나머지
는 달팽이관 속에 삽입한다. 물론 장비를 몸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수술 과정이 필요하다.“신경보철은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간편하지만 환자의 수술이 불가피하죠. 따라서 수술을 무릅쓰고서라도 ... ...
비리얼 정리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별이 수축하면 중력 위치에너지가 작아진다. 위치에너지 감소량의 절반은 열에너지의 증가량이 되고,
나머지
절반은 복사에너지로 방출되는데 이를 비리얼 정리라 한다.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같은 모양의 세포들이 유별나게 규칙적으로 쌓여 있다. 이 세포들은 대부분이 14면체이고
나머지
는 12, 13, 15, 16면체들인데, 면의 평균 개수는 13.96임이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돼 19세기 물리학자 켈빈 경은 3차원 공간의 최적 분할 문제의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직육면체(밑면은 변의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다. 수시2차 ‘일반학생 전형’과 ‘기회균형 전형’을 제외한
나머지
전형에는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바롬예비지도자 전형’은 진정한 성공과 나눔의 가치를 아는 행복한 인재를 키우기 위해 실시하는 전형이다. 공동체 속에서 나와 우리를 배우고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사나움과 폭력성은 옛사람들에게도 꽤 인상적이었던 모양이다.집게다리를 제외한
나머지
4쌍의 다리는 걸을 때 사용한다. 특히 가장 아래쪽의 한 쌍은 부채 모양으로 넓적하고 평평하게 발달해 헤엄치기에 적합하다. 서양에서는 헤엄을 잘 치는 게라고 해서 꽃게를 ‘swimming crab’이라고 부르기도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나머지
파장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간 립스틱은 빨간색을 제외한
나머지
파장의 빛은 흡수하기 때문에 빨갛게 보인다. 물론 빨간색도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총망라하면 가짓수가 엄청나다. 미묘한 색상의 차이에 따라 반사하는 파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를 구분해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