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1,9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12
전체 판매량은 업체마다 추정량이 크게 차이나는데 드라이브 보급 확대와 삼성 금성 등
대형
업체들이 CD-ROM 제작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어 올해 말까지 판매량이 10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PC의 고기능화 부추겨멀티미디어 분야가 미래의 전자산업을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12
일종의 공룡계의 패션이 되었던 듯하다. 이를 '수검진화'라 한다. 북아프리카에 서식하던
대형
육식공룡 스피노사우루스나 조룡인 오우라노사우루스가 역시 등의 격돌기를 길게 늘이고 있었다. 등에 특대의 등지느러미와 같은 '방패'를 매단 공룡의 모습은 도감 등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계통이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12
포란해 주위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황새는 황새목(目) 황새과(科)의 한 종으로
대형
이며 겨울철에 일정기간 머무르다 가는 겨울새인데, 천연기념물 제 1백99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다. 암수 모두 흰색이나 날개 하단부위는 검은색의 깃을 가지고 있으며 나출된 부위인 눈꺼풀과 다리 부분은 ... ...
세계 최대 어레이 전파 망원경 운영 개시
과학동아
l
199312
있다는 의미. 이 망원경에 의해 기록되는 전파 신호는 천체 이미지를 만들도록 소코로의
대형
컴퓨터로 보내진다.이 VLBA 전파 망원경은 천문학자들이 퀘이사의 핵에서 발산되는 매우 빠른 물질을 관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
PART. 1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부쩍 감소
과학동아
l
199312
오토데스크 볼랜드 로터스 마이크로소프트 노벨 워드퍼펙 고 등 미국에 근거한 9개의
대형
소프트웨어 개발사들이 모여 지난 88년 창립한 이익단체. BSA측은 작년 한햇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중 적어도 82% 이상을 불법복제본으로 추정하고 있었다.BSA의 건의에 앞서 '불법 복제 왕국'이란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11
고기능 재료를 제외하고 많은 것을 달에서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우주발전소는
대형
구조물이지만 그 건설 방법은 오히려 단순하다. 지상 고층건물을 조립식화한 콘크리트 블럭을 적층해 조합하는 것처럼, 우주발전소도 지상 또는 LEO에서 기본구조를 만들고 정지궤도에서 조합하는 단순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저 유명한 안드로메다은하의 경우도 나선팔을 식별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대형
망원경이 아니고서는 그저 뿌연 성운의 모습으로 보일 뿐이다.나선은하는 우리의 시선 방향으로 놓인 위치에 따라 모습과 밝기가 다르다. 보통 나선은하가 정면으로 향하고 있는 모습은 표면밝기가 낮아 ... ...
가상현실시스템 의료분야에 응용
과학동아
l
199311
아이템의 수가 극단적으로 적은 것, 또 동물을 항상 짝을 지어 배열한 것 등. 특히
대형
화면에다 어느 정도 입체성을 갖고 있어 몰입하는 정도가 종래의 상자 정원보다는 월등하다는 것이 일본 소아병원측의 이야기.한편 가족과 장기 격리될 수밖에 없는 아이들을 위해 '가상면회'시스템을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11
빠르지만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 미국의
대형
통신 네트워크인 컴퓨서브에서 데이터 전송 및 이미지 압축과 복구 등을 위해 규정한 방식으로 높은 압축률과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gif가 지원하는 그림의 최대 해상도는 6만5천5백36×6만5천5백36이며 컬러는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11
그렇지만 특히 블랙홀과 같이 고에너지에 관계되어 있는 천체에 관한 이론적 진전은 초
대형
망원경이나 X선 관측위성 등에 의한 관측적 진전에 크게 의존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경우 이미 네번째 X선 관측위성을 올해 우주궤도에 올려 놓았다. 최근에야 과학실험위성을 발사하고 있는 우리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