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1,97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가속기가 등장한 것이다. 가속기란 인공적으로 높은 에너지의 소립자를 만들어내는
대형
장치인 셈이다. 우주선에 비하면 가속기에서 생성되는 소립자의 수는 엄청난 수다. 1초에 수십억개 이상의 소립자를 만들어내기도 한다.당연히 반입자 연구도 가속기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1952년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02
판매량뿐만 아니라 가격 하락을 비롯한 여타의 조건을 두루 고려한 것이라고 밝힌다.즉
대형
컴퓨터 제조사들이 CD-ROM 드라이브를 기본사양으로 장착한 PC를 올 봄경에 선보일 태세여서 CD-ROM 붐이 일어날 조건은 이미 성숙해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현재 약 20여개의 국내 업체들이 준비하고 있는 CD-ROM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02
약 30년 전 화약을 폭발시켜서 인공 크레이터를 만들어 그 모양이나 방출물을 조사하고
대형
충돌총을 사용한 실내 실험으로 그 논쟁의 종지부가 찍혔다. 충돌총을 사용한 실내실험 결과 예상과는 달리 충돌각도와 크레이터 모양의 관계는 충돌각이 극히 작은 약 5도 이하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02
정보의 양을 기하급수적으로 팽창시키고 있다. 하루에도 수백만부씩 발행되는 신문과
대형
서점의 엄청난 서적 더미에서 우리는 정보의 홍수를 체감한다. 이제 현대인들은 정보를 모으는데 그치지 않고 관리를 원하고 있다. 이는 역사시대의 주역이었던 종이의 운명이 다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한데, ... ...
PART.3 CPU전쟁, 인텔 독주는 계속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01
독점적인 지위를 굳히고 있는 인텔과 경쟁을 펼칠 수 있는 유력한 경쟁자로 손꼽았다. 중
대형
시장에서도 난형난제파워 PC 이외에도 RISC(축소 명령어 세트 컴퓨팅) 기술에 바탕을 둔 마이크로프로세서들도 인텔의 고성능 펜티엄 칩의 경쟁자로 떠오를 전망이다.이는 PC가 고성능화되고 있으며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01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 승차감과 속도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레일의 장대화(長大化) 및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철저하고 엄격한 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표3). 궤도구조일반철도와 고속철도에 사용되는 궤도구조의 주요 차이점은 (표4)와 같다. 일반철도와 고속철도의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12
동체 앞뒤쪽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회전로터를 장착하기도 하는데, 미국의
대형
수송헬기 CH-47치누크(Chinook)와 보잉(Boeing)사의 N234CH 등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옛소련의 대 잠수함 작전용 헬기인 Ka-25 호르몬(Hormone)과 다목적 헬기 Ka-32T는 위아래 이중으로 엇갈려 회전하는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12
힘든 7, 8등성의 어두운 별들까지도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고 여기에 가이드촬영을 하면
대형
망원경에서나 볼 수 있는 12등성까지도 망원경보다 넓은 시야에서 두고두고 볼 수 있는 것이다.여러가지 필터를 조합해 찍으면 희미하여 구별이 잘 안되었던 성운 성단들도 그 베일을 벗고 본래의 모습을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12
목의 조직을 통해 나온다는 것. 또 수면 아래의 소리는 귀 대신 턱뼈로 듣는다고 말했다.
대형
동물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포유류도 아닌 악어(파충류)가 초저주파 음파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관련학자들을 다소 당황하게 했다. 하지만 악어의 초저주파 음파에 기인한 진동은 너무도 명백하다. 가끔 ... ...
꿈의 '벽걸이형 TV' 실현
과학동아
l
199312
1897년 독일의 칼 브라운이 브라운관을 발명한 지 이미 1백년 가까이 된다. 흑백에서 컬러로, 화질의 향상 등 브라운관은 그 사이 많은 진보를 거듭 ... 20인치가 한계라고 한다. 다만 20-25인치 정도까지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면 그 이상의
대형
플랫 비전의 실현은 시간문제가 될 것이라고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