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713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영실주니어연구단 모집] 태평양해양과학기지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18.07.03
생태계를 전문가와 함께 직접 관찰하고 탐구해볼 수 있습니다. 8박9일 동안 뜨거운 열대
바다
보다 더 뜨거운 열정을 빛낼 연구단원을 기다립니다. 항공료와 숙박비, 식비 등 모든 비용은 KIOST가 지원합니다. 모집대상 : 고등학생 및 대학생, 청소년 (1999년 3월 1일 ~ 2002년 12월 31일 출생자) 참가비 : ... ...
동물도 암에 걸릴까?...
바다
거북 Yes, 코끼리는 No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살펴볼 것”이라며 “이를 통해 암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 멸종위기종인
바다
거북의 암 발생률을 낮추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GIB 제공 코끼리에게만 암 저항 유전자가 있다? 지난 3월 학술지 ‘셀리포트’에는 미국 유타대 생명과학과 크리스토퍼 그레그 교수팀이 진행한 ... ...
[팔라우 힐링레터] 무시무시하지만 군침도는 바닷가재
2018.07.02
않다. 이 사진도 간신히 포착한 것이다. 바닷가재를 만나더라도 문제는 있다.
바다
가재의 몸과 등에는 무시무시한 가시들이 날카롭게 붙어 있기에 맨손으로 만져서는 상처를 입기 십상이다. 바닷가재는 이렇게 은신한 채 바닷속에 살아가다 갑각류들이 성장하면서 늘 겪는 고통인 ... ...
[짬짜면 과학 교실] 코끼리 가족에게 배우는 ‘물체의 운동’
2018.06.30
다른 조건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서 그 비교가 쉽지 않아요. 초원을 뛰어다니는 말과
바다
를 헤엄치는 돌고래 중 누가 더 빠를까요? 말과 돌고래는 둘 다 빠르지만 서로를 맞상대로 비교하기는 어려운 일이에요. 같은 조건을 만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각각의 빠르기를 알아내야 ... ...
日 탐사선 ‘하야부사-2’ 소행성 ‘류구’ 도착…첫 C형 소행성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S형이었다. 일부 과학자들은 물이 풍부한 C형 소행성이나 혜성과의 충돌로 지구에
바다
가 형성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야부사-2 연구진은 류구에서 얻은 시료를 분석해 이 같은 가설을 검증할 계획이다. 또 C형 소행성 표면의 색이 어두운 이유가 기존의 예측처럼 탄소 성분이 풍부하기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의 ‘분수’ 복잡한 유기물 내뿜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6.28
얼음조각을 내뿜고 있다. 이 물은 얼음층 지하 30~60km 아래에 존재하는 액체로 된
바다
에서 뿜어져 나오는데, 기존 연구에 따르면 여기에 약간의 메탄이 포함돼 있다.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의 분출 - 사진 제공 NASA/JPL 연구팀은 카시니 호가 장착한 두 개의 물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분수’가 ... ...
바닷물로 담수 만들 때 나오는 폐수 30%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6
고온·고압의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는 만큼 생산 효율이 떨어졌다. 대부분 그대로
바다
에 방류되는 농축수도 문제였다. 염분을 비롯한 화학 성분이 일반 해수보다 1.5~2.5배 높아 해양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최준석 건설연 국토보전연구본부 수석연구원은 “최근 해수담수화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수면 상승으로 몸살 앓는 열대 산호초… 2100년 전부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18.06.24
크리스 페리 영국 엑스터대 교수팀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산호초가
바다
깊숙한 곳으로 가라앉으면서 성장 속도가 더뎌졌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1일자에 발표했다. 페리 교수는 “해수면이 높아져 산호초가 더 깊게 잠기게 됐다. 물에 의한 중력을 더 많이 받게 된 ... ...
[팔라우 힐링레터] 복서의 꿈, '복서새우'
2018.06.24
땀과 함께 사각의 링에서 끊임없이 도전하는 복서의 모습이 강렬했다. 그러면
바다
속은 어떨까? 수중에도 '복서새우(boxer shrimp)'라 불리는 갑각류가 있다. 이들은 다른 물고기의 몸에 붙어 있는 기생충 등을 잡아먹으며 사는 청소새우이다. 산호초에 몸을 숨기고 기다란 더듬이로 주변을 ... ...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비행 후 해상회수 성공…저비용 지구관측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0
강원도 삼척에서 스누볼을 띄워 상공 17㎞ 높이까지 올렸다. 스누볼은 2시간 여 동안 동해
바다
해상에서 약 170㎞ 거리를 비행한 뒤 지상국의 명령에 따라 울릉도 남쪽 60㎞ 지점에 착수했다. 5시간 후 과학기구의 모든 장비가 정상 회수됐다. 이 교수는 “인구밀도가 높고 산악지형이 많은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