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우리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은 어디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바로 ‘표준모형’이다. 세상의 근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인류가 지금껏 깨 ... 4.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Part 5.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 인터뷰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직장생활 4년차 김 대리에게는 점심식사 후 회사 옥상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며 이런저런 잡생각에 빠지는 시간이 유일한 낙이다. 희뿌연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 4.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Part 5.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 인터뷰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구조와 시공, 환경과 관련된 엔지니어링을 주로 공부하고, 건축학은 설계, 디자인, 역사, 이론, 도시설계 등을 배우지요.김동원 건축공학은 4년 과정인 반면 건축학이 5년인 이유는 무엇인가요?조항만 건축사 자격 때문에 그렇습니다. 학과 특성상 외국에 나가서 공부하거나 일할 기회가 많은데, 각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신의 입자’란 별명을 얻게 됐지요. 힉스는 1960년대 영국의 과학자 피터 힉스가 처음 이론적으로 예측했지만, 존재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직접 관측되지 못했어요. 그러다가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마침내 힉스를 발견했어요.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완성한 하트 모양으로 책갈피나 가방을 장식해 실생활에 활용할 수도 있다.수업의 배경 이론‘작도’란 자와 컴퍼스, 연필만으로 특정 도형을 수학적으로 증명 가능하도록 그리는 것을 뜻한다. 기본도안 작도에 필요한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작도할 수 있다.수업의 흐름1.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당시에는 없었던 유전학적 토대를 드디어 진화론이 얻게 된 것이다. 이를 가리켜 진화 이론의 ‘현대적 종합(Modern synthesis)’이라 한다.혹시 여러분이 멘델의 법칙이나 완두콩 껍질이라는 말만 들어도 벌써 정신이 혼미해져 온다면, 위에서 한 말은 지금 즉시 잊어도 좋다. 오늘 기억해야 할 사항은 딱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올해 83세의 ‘현역’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는 표준모형을 완성한 공로로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과 함께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는 자 ... 4.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Part 5.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 인터뷰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 ...
- 뭐든지 들어올리는 수압집게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굵은 관에선 더 큰 힘을 낼 수 있는 거예요. 파스칼은 이런 원리를 발견하고 계산해 이론으로 정리했어요.파스칼의 원리는 우리 생활 속에 많이 쓰이고 있어요. 특히 큰 힘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고 있죠. 포크레인의 관절 부분이나 자동차 브레이크, 자동차 정비소에 있는 자동차 올림대 등이 ... ...
- 빛으로 꿈꾸다! All Light! All Right!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지은 이름이란다. 웜홀은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수학적인 이론이라고 해. 웜홀이 실제로 있다면 순간이동이나 시간여행이 가능할 수도 있겠지?반짝반짝 빛으로 놀자!웜홀을 빠져나와 도착한 ‘빛 놀이터’에는 재미있게 빛을 즐기는 공간들이 마련돼 있었어. 우리는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약 3000배 강한 자석에 개구리를 올려놓았지요. 그러자 개구리가 공중에 둥둥 떠올랐어요. 이론으로만 생각했던 ‘개구리와 자석 사이에 반자성이 생긴다’는 사실이 확인된 거예요.가임 교수는 엉뚱한 상상을 멈추지 않았어요. 문구점에서 파는 셀로판 테이프에 연필심을 문지른 다음 떼어내서,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