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어떻게 바라봤을지 자유롭게 토론했다. 이 과정에서 스타인하르트와 그린은 끈이론을 두고 논쟁하기도 했다. 책을 읽는 내내, 그 대화를 눈 앞에서 듣는 듯해 가슴이 뛴다.힉스입자가 발견되고 중력파가 검출되는 물리학의 황금시대, 기라성 같은 과학자들의 대화에 동참해 보는 건 어떨까. 강연문, ... ...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후배이자 파리의 국립연구소에서 일하는 수학자를 만나러 프랑스에 갔어요. 저는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지만 그 후배는 알고리듬에 대해 연구하고 있지요. 그래서 2년 전에 둘이 힘을 합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 논문을 쓰고 있어요.혼자서 문제 하나를 오랫동안 생각하면 생각의 폭이 ...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칠레 폰티피셜 카톨릭대 연구팀이 케플러망원경으로 우주에서 가장 큰 암석 행성을 찾아냈다고 1월 28일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 ...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로 천문학계에서는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정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 있을 것만 같았다. 해왕성의 궤도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즐겁게도(?) 섭동 관측값이 이론과 일치하지 않았다. 미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퍼시벌 로웰은 르베리에의 방법을 본 따 “해왕성 너머에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했다. 1906년 이 미지의 아홉 번째 행성에 ‘행성 X’라는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동안 빛조차 이마에서 뒤통수까지 갈 수 없었다. 이 이상 커다란 뇌를 만들어 낼 수 없는 이론상의 최대에 나는 도달한 것이다.그 크기에 도달했을 때, 누가 나를 찾아 왔다. 그것은 마젤란 성운 쪽에서 나타났는데, 바로 다름 아닌 나처럼 광속 한계에 도달할 만큼 커다랗게 자라난 아주아주 큰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제 인간의 숭고한 이타심과 헌신조차 자신의 이론으로 매끄럽게 설명할 길이 열렸음을 다윈은 놓치지 않았다. ‘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0여 년 뒤에 나온 ‘인간의 유래와 성에 관련된 선택’에서, 다윈은 약자에게 공감하고 어려움에 처한 이를 기꺼이 돕는 ...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비추면 벤 다이어그램이 된다!존 벤은 집합이 6개인 경우까지 벤 다이어그램을 그렸고, 이론적으로 집합의개수가 유한할 어떤 경우에도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는 것까지 알아냈다. 그러나 집합이 7개 이상인 경우부터는 벤 다이어그램을 직접 그려보이진못했다.이후 n의 값에 상관없이 벤 ... ...
- [News & Issue]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가스에서 불안정한 부분은 에너지를 잃고 안으로 떨어져서 블랙홀의 먹이가 된다. 이론적으로는 블랙홀이 가스 원반의 안정적인 부분까지 빨아들일 정도로 크게 성장할 수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블랙홀의 질량이 매우 커야 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알려져 있었다.하지만 수 년 전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방향을 틀었습니다.”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당시에도 입자물리가 인기가 가장 많았는데 그건 너무 어려울 것 같아 고체 물리를 골랐습니다. 계산으로 새로운 재료의 성질을 찾아내는 학문이죠.”_지승훈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카발리에리 등과 어울리며 최신 기하학과 광학을 익힌 니세롱은 1638년에 애너모포시스 이론을 정리한 최초의 책 을 발표했어요.헝가리의 그래픽 디자이너 이스트반 오로스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왜상 화법의 대표 주자예요. 오로스에게 물어보니 작품을 만들 때 니세롱의 책을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