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동 찐팬을 만나다] (1) 생활 속 규칙찾다 보면 수학이 재밌어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학문’이다! 보통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만 수학이라고 생각하지만 우리 생활 속에서도 끊임없이 수학을 발견할 수 있지요. 에 나온 아이스크림의 부드러움을 결정짓는 수학이나 종이비행기의 원리처럼 말이에요. 저는 수학의 이런 면을 좋아해요 ... ...
- [특집] 뱀파이어의 송곳니는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대로인 채로 0의 개수만 늘어나고 있어. 이제 혼자서도 송곳니 쌍을 찾을 수 있겠군. 약속대로 피 맛 초콜릿을 줄게!”피 맛 초콜릿을 양손에 든 뱀파이어의 발밑으로 피가 뚝뚝 떨어졌어요.“저희는 초콜릿을 먹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아요. 그럼 이만 가보도록….”세 아이는 뒷걸음질 치며 ... ...
- [에디터노트] 2021 결산 어워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막내기자 님?김소연 기자 3월호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이야기 속 황새를 눈으로 본 것도 신비한 경험이었고, 취재 내용도 전래동화의 한 장면 같아서 꿈꾸는 듯이 썼어!편 9월호 특집 ‘안녕, 플라스틱’도 좋았는데.김소연 기자 그거랑 7월호 ‘몸집 키워 돌아온 ... ...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비슷한 작은 컴퓨터가 들어있는 똑똑한 모터죠. 이 모터를 이용하면 모터의 회전량, 회전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작품에서는 정확한 회전 정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했습니다. 아두이노 나노로 제어해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렸다가 다시 왼쪽으로 홱 돌아보는 식의 예측 ... ...
- [과동프렌즈] 함께 단단히 성장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혼자 하는 학문이 아닌, 사람과 소통하는 학문이다. 과학동아는 그런 김 군이 넓은 세상 속에서 다양한 사람과 과학을 이야기할 창구가 됐다. 김 군은 지난해 6월부터 과학동아 청소년 커뮤니티 사이언스 보드에서 ‘푸앵푸앵’ 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활발한 활동으로 독자카페 코너의 ... ...
- [인터뷰] 수학을 사랑한 어린이, 인기 금융 유튜버가 되다! 최민 크레이에이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복잡한 정보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공부의 다른 순기능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계속해서 제 지식을 영상, 책, 강의, 강연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 형태로 전달하고 싶어요!” 수학을 사랑했던 어린이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좋아하는 일’을 찾아 멋진 금융 유튜버로 성장했어요. 최 ... ...
- [에프매스의 무의식 퍼즐세계]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은 특별한 비밀 공간에 초대하지. 여기는 나, 에프매스의 무의식 속이야. 난 휴식이 필요할 때면 무의식 세계로 들어가 시간을 보내곤 해. 하지만 소중한 나만의 공간에 아무나 들일 수 없지. 퍼즐을 푼 사람만 다음 세계를 구경할 수 있어. 곳곳에 숨어있는 퍼즐을 풀다 보면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사막개미의 길 찾기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막개미는 태양의 위치와 편광 현상을 분석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해요. 마치 몸 속에 GPS가 있는 것과 같아요. 비결3. 내 몸에는 만보기가 있지!사막개미는 자신의 걸음 수를 기억해뒀다가 집을 찾아간다고 해요. 걸음 수를 세주는 ‘만보기’가 몸에 있는 것처럼 말이에요. 사막개미의 이런 ... ...
- [특집] 마녀의 외침 “난 억울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흐르고 있었어요. 연우는 초상화 앞으로 다가갔어요.“왜 울고 계신가요?”초상화 속 여성이 고개를 돌려 연우를 바라봤어요.“난 고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테온의 딸이자 수학자인 히파티아야.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쳤지. 난 알렉산드리아를 관리하던 총독 오레스테스와 가까운 ... ...
- [과학뉴스] 고래는 생각보다 더 대식가였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고래가 먹이를 먹고 난 다음 배출하는 배설물에는 철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고래 배설물 속 영양분은 바다 표면으로 이동해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된다. 플랑크톤은 고래의 먹이인 크릴새우에게 잡아먹힌다. 이런 생태계의 순환으로 고래 개체수가 줄면 고래의 먹이인 크릴새우의 개체수도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