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불리는 암호화폐로 거래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어요. 이렇게 되면 메타버스 속 가상 자산에 대한 소유권이 블록에 남아 유지되고, 블록의 기록으로 소유권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또 이전에는 내가 하던 게임의 서비스가 종료되면, 캐릭터나 아이템이 사라져 버렸지만, ... ...
- [몬스터를 잡아라!] 미션! 5를 만들어라! 뺄셈 몬스터와 5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놀이북 21쪽과 함께 보세요! 넓은 우주 속, 뺄셈 몬스터가 4개의 눈알을 굴리며 함께 게임할 몬스터를 찾고 있어요. 목표물 발견! 저 멀리 보이는 5 몬스터를 향해 달려가려는 찰나, 뺄셈 몬스터를 발견한 5 몬스터가 반대 방향으로 도망가네요. 게임을 즐기면 뺄셈 몬스터와 5 몬스터를 잡을 수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밀어내서, 물방울이 재빨리 굴러떨어지죠.영상 제작자는 소수성 빨대를 만든 뒤 빨대 속으로 물을 흘렸어요. 그러자 빨대로 들어온 물이 다 굴러서 빠져나갔지요. 과연 빨대가 물을 밀어내는 힘을 이겨내고 물을 빨아들일 수 있을까요? 추천! 어과동 실험 영상 다시 보기바람을 따라 빙글빙글 ... ...
- [인터뷰] ‘어펜져스’ 맏형을 만나다, 승리 비결은 집중 또 집중!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한 점 차이로 이길 때는 점수 차를 빨리 벌리기 위해 작은 점수라도 얻기 위한 공격을 계속 시도해요. 세 점 이상 이기고 있을 때는 여유 있는 태도로 경기하면서, 경기의 흐름을 주도해야 해요. 문채원 : 운동선수를 꿈꾸는 어린이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은요? 김정환 : 운동선수는 반드시 고되고 긴 ... ...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하지만 베이킹소다가 린스 입자 속의 수분까지 흡수하지는 못해요. 그래서 혼합물의 속은 여전히 촉촉한 액체를 머금죠. 게다가 린스 입자들끼리도 서로 들러붙어서 눈처럼 서로 뭉쳐질 수 있어요. 그 결과, 인공 눈이 탄생한답니다. 이번 실험을 직접 해본 뒤 실험 사진을 어과동 홈페이지 ... ...
- [수콤달콤 연구소] 원리만 알면 눈에 쏙! 계산식 규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식으로 나타낸 ‘계산식’에도 규칙이 있어요. 꼭꼭 숨은 규칙도 원리를 알면 눈에 쏙쏙 들어오지요. 수콤, 달콤과 함께 맛있는 빵과 쿠키를 구우며 계산식 속 규칙을 찾아봐요!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지혜여기에도 기린 무늬가 있네~! 기린 무늬를 닮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우리 생활 속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대. 멋진 건물을 만들기도 하고, 마을에 공공기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때 도움이 되기도 하지. 어떻게 쓰이는지 살펴볼까? 아래 사진에 있는 건물의 모습이 마치 비누거품 같죠? ... ...
- [특집] 식중독균 전문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저었어요.그럼에도 식중독균 자원센터는 식중독 사고를 막기 위해 식중독균의 정보를 계속 모으고 있어요. 황진희 연구관은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식중독균만 특화해서 연구하는 유일한 곳”이라며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는 길목을 차단해 우리나라 식중독 사고를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슬아슬 서낭바위를 조각한 주인공은 파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상단의 화강반암은 불룩한 얼굴이 되어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죠.앞으로 파도가 계속 바위를 때린다면, 서낭바위는 언젠가는 결국 무너질 거예요. 멋진 바위가 사라진다면 아쉽겠지만, 그것도 자연스러운 침식 과정의 일부가 아닐까요? ●암맥 : 화성암의 마그마가 다른 암석 사이에 뻗어나가 굳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은 자전거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이러스가 몸을 숨길 수 있는 색소가 더 많아지는 거예요. 체레파노프 박사는 “혈액 속의 색소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결합하지 않도록 하는 약물을 투여해 바이러스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어요. 에필로그 “멍의 색깔에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