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령과 피부 부위별로 차이가 있지만 성인 남자의 피부 두께는 얼굴의 볼 부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약 1.5mm 안팎으로, 성인 여자(약 1.2mm)에 비해 0.3mm(25%) 두껍다. 김범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그 차이의 원인으로 호르몬을 지목했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의 농도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제품을 쓰는 게 더 중요하다. 다만 남성 화장품으로 개발된 제품은 평균적인 남성 피부를 기준으로 만든 것인 만큼 남성에게 더 잘 맞을 수 있다. 남성이지만 피부가 아주 건조하다면 여성 화장품을 써도 무방하다. 하지만 피지 분비량이 많은 10대 남학생이 어머니 화장품을 쓰는 일은 역효과를 낼 수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단위 분자가 방출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다른 가능성은 접착제와 향료다. 외품기준에는 ‘사용하지 않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의복에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방취 목적으로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다만, 첨가하는 향료는 인체에 무해하고 시험에 지장을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너무나 짧은 순간이었지만, 저에게는 단지 그 시간이면 충분했습니다. 제가 정해 놓은 기준에 의하면, 양쪽 모두가 동시에 살아있다는 증거가 너무 분명했거든요. 저는 곧바로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정신은 전송되는 게 아니라, 알 수 없는 이유로, 혹은 누군가의 의심스러운 개입으로 인해, ... ...
- [과학뉴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업경제학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출판사가 공동 발행하고 있다. 논문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피인용지수(IF)는 2015년 기준 4.141로, 농업경제학 부분 83개 저널 중 4위다. ‘오픈액세스’ 저널로, 논문이 게재된 지 1년 뒤면 아카이브를 통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다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0년간 진행된 민간 달 탐사 대회인 ‘구글 루나 X프라이즈’의 마감 시한이다(9월 1일 기준). 현재 달에 도전했던 34개 팀 가운데 다섯 팀이 남아서 달 탐사를 위한 최종 준비를 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딱 10년 전인 2007년 9월 13일. 미국의 정보기술(IT) 전문매체인 ‘와이어드’가 ‘넥스트페스트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사는 일이 인류가 보편적으로 가장 오래 공유한 행복의 기준인 셈이다. 지금도 이 욕망에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행복을 찾기 위한 인류의 여정은 쉽지 않았다. 고대 사람들은 자신의 몸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 자연에서 채취한 식물의 효험을 확인했다. 고대 그리스의 ...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다. 피부암의 경우 병변의 크기와 색깔 분포, 대칭성, 경계 부분의 불규칙성을 기준으로 초기 진단을 내리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에는 이 기능이 모두 들어 있다. 현재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의료진과 공동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스타트업에도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를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독특하면서도 화려한 뿔을 가졌던 첫 번째 이유는 뿔이 짝짓기 상대를 고르는 기준이기 때문이에요. 암컷 코스모케라톱스는 여러 마리의 수컷들 가운데 마음에 드는 한 마리를 선택해요. 이때 수컷들은 암컷에게 선택되기 위해 자신의 뿔이 얼마나 아름답고 예쁘게 생겼는지 과시하며 경쟁하지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우리 몸을 입체모형으로 배워 보자! ‘사이언스크래프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다르기 때문에 균형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어떤 도형이든 종이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맞춰 주어야 한답니다.기자단 친구들은 사이언스크래프트 체험을 통해 몸 구조를 배웠어요. 뇌와 바이러스, 세포 등 완성한 입체모형을 친구들에게 설명하며, 자연스레 그 형태와 기능을 익혔지요.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