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뛰어넘는 기준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용어다. 많은 연구자들은 양자 우월성을 결정짓는 기준을 50개 정도로 보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9큐비트 칩의 양자컴퓨터를 구현해 ‘네이처’ 6월 8일자에 발표했다. 1년 만에 큐비트를 5배 이상 늘릴 수 있을까. 지금까지 구글의 발전 속도를 보면 불가능한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보았다.“멀린은 잠을 자고 있어요.”메데이아가 말했다.“404시간째 자고 있죠. 지구 기준으로 16일이 넘네요. 이미 아시고 계시리라 생각하지만, 저희는 생리적인 문제에 그다지 시달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멀린도 잠이 들기 전에 작가님의 가설을 읽고 무척 흥미로워했습니다.”프로스페로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환기를 최소화해 라돈 농도가 가장 높게 기록된 2주차에도 평균 농도는 3.13pCi/L로 기준치보다 낮게 기록됐답니다. 환기를 했는데 오히려 라돈 농도가 올라갔어요!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환기를 하면 라돈 농도가 떨어진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환기를 했는데 라돈 농도가 올라간 경우도 ...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5월 6일에도 강원 ●영동지방은 건조 경보가 내려져 있었어요.●영동지방 :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동쪽 지역.도깨비불을 만든 바람, 양간지풍이번에 산불을 직접 목격한 주민들은 ‘도깨비불이 날아다녔다’고 말했어요. 날아다니는 도깨비불을 만든 건 초속 15m에 달하는 강한 바람이에요. 바로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km 거리에서 최대 진폭이 0.001mm로 기록된 지진의 세기를 규모 0.0으로 임의로 정의했고, 이 기준이 현재의 표준이 됐다. 가령 100km 거리에서 우드-앤더슨 지진계가 1mm의 진폭을 측정했다면, 규모가 0.0인 지진의 진폭보다 1000배 커졌으므로 그 지진의 규모는 1000의 상용로그 값인 3.0이 된다. 이유1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분쟁은 기술 발명의 우선권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어 최초 발견을 중시하는 노벨상 심사 기준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4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지 관심을 모았던 일본은 3년 연속 수상에서 그쳤다. 올해는 미국, 영국, 스위스 3개국 과학자들이 노벨과학상을 휩쓸었다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상수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플랑크 상수 값, 처음으로 합의질량자문위원회의 기준을 만족하는 플랑크 상수를 찾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 키블 저울과 XRCD 방법을 이용해 1976년부터 노력해왔지만 2014년이 될 때까지도 정확한 값을 찾지 못했다. 그런데 2015년 캐나다와 독일이, 올해에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매우 강력해서, 암 같은 난치병을 곧 쉽게 치료하게 될 거라는 기대와, 제대로 된 기준을 세우지 않으면 자칫 유전자를 마구 ‘편집’해 괴생명체를 탄생시킬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뒤섞여 있다. 이 책은 바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불러올 ‘혁명’의 시작을 목격한 저널리스트들의 리포트다.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위치입니다. 무게중심은 작용하는 총 중력의 작용점입니다. 중력에 의한 합력이 0이 되는 기준점을 말하지요. 가느다란 다리에 비해 몸집이 커다란 홍학의 무게중심은 안쪽 무릎에 있습니다. 이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불안정해 보이지만 한 발로 자는 게 가능하지요. 위태로운 곳에서 절벽을 걷는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무리 달라도 도넛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도넛을 나누는 기준은 곡면이 얼마나 휘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인 ‘곡률’입니다. 곡률이 곡면위의 모든 점에서 같다는 조건을 추가하면, 모든 곡면은 곡률이 양수인 곡면, 0인 곡면, 음수인 곡면 중 하나입니다.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