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
2017.08.06
나타났으며 일반적 영상에 대한 기억에서는 잠을 잔 사람과 자지 않은 사람 사이의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충격적인 영상을 보고 잠을 자는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잠을 푹 자지 못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낮 동안 더 안 좋은 기억을 많이 떠올리고 계속해서 큰 정서적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자유롭게 살 수 있게끔 하는지 여부가 국가 별 ‘소득’ 수준의
차이
보다 더 행복의
차이
를 잘 설명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GIB 제공 인간관계 또한 그렇다. Diener 등의 학자들은 한국의 과도한 집단주의 문화가 사람들로 하여금 원치 않고 바람직하지 않은 집단행동에 억지로 참여하게 만들며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어떻게 습도를 인식해 활성화될까. 습도란 공기 중의 수증기(물분자) 밀도인데 그
차이
가 수용체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일까.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이 부분은 여전히 미스터리라면서도 그럴듯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즉 습도가 높으면 더듬이의 큐티클이 습기를 머금어 부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부를 정도로 극적인 효과를 보이는가 하면 운동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
가 없는 경우도 있다. 라이크렌과 알렉산더는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운동, 즉 신체 활동과 뇌의 관계를 진화의 관점에서 통찰했고 그 결과 ‘적응 능력 모형(adaptive capacity model)’이라고 부르는 아이디어를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
2017.07.15
샀을 때 더 만족도가 큰 경향이 나타난다(Hsee et al., 2008). 물건을 고를 때는 여러 물건들의
차이
에 집중하는 ‘비교’모드지만, 산 물건을 경험할 때는 물건을 고를 때 중요하게 느껴지던 비교우위는 사라지고 직관적인 느낌(딱 봤을 때 이쁘고 마음에 듦)과 그 물건과 나 사이의 1:1 경험만 남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될 탄소원자와 물이 될 수소원자의 비율이 1:4이지만 석탄은 그 비율이 1:2 보다도
차이
가 적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원자력에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나온다. 아무튼 당분간 우리는 천연가스를 애지중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이왕 이렇게 된 바에야 천연가스를 좀 더 효율적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종에서 뇌가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났지만(수렴진화) 뇌의 세부적인 구조에서는
차이
가 생겨 결과적으로 인지능력이 더 뛰어나게 진화한 현생인류가 다른 인류를 몰아내고 지구를 차지했을 거라고 설명한다. 즉 30만 년 전 초기 호모 사피엔스는 아직 ‘슬기로운(sapiens)’ 존재가 아니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큰
차이
가 난다는 말이다. 특정 음식의 소화 속도와 흡수율은 개인에 따라서
차이
가 크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 식단 역시 개인에 맞춰 짜야 효과가 크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나에게 맞는 식단 짜야 성공 필자들이 글의 제목에 ‘복잡한(messy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
2017.06.10
것이라고도 한다. GIB 제공 연구들에 의하면 이렇게 자신이 인류의 한 부분이며 모두와
차이
점 못지 않게 큰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세상에서 나만 힘든게 아니라 인간은 누구나 부족함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는 연대감을 갖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스스로에게 따듯하면서 ...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
2017.06.03
지적 겸손 정도가 낮은 사람들은 전문적인 글과 비전문적인 글을 신뢰하는 정도에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도 타인도 사람이라면 누구나 잘못 알 수 있고 틀릴 수 있음을 받아들이는 지적 겸손을 갖는다면, 또 누군가 틀렸다고 해서 조롱하지 않는 문화를 만든다면 의견의 다름으로 인해 사람을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