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스페셜
"
에너지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빨리 찾아오기도 한다. 또한 실패에 대한 불안을 다스리느라 정작 일을 하는 데 쓸
에너지
가 모자란 현상도 나타난다. 이런 특성이 완벽주의자들에게서 성실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게 연구자들의 추측이다. 한편 완벽주의적인 사람들은 사람들에게 완벽해 ‘보이고’ 싶다는 욕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
2019.02.02
사람들이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의 차이는 사회적 상황에서 얼마나 큰 즐거움과
에너지
를 얻는지에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수의 연구에 의하면 실제로는 내향적인 사람들도 외향적인 사람들 못지 않게 또는 이들보다 더 사회적인 활동에서 큰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Zelenski ... ...
[표지로 읽는 과학]150살 생일 맞은 주기율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2.02
원자 번호는 원소의 핵 속에 존재하는 양성자의 수다. 원소의 특성은 전자가 원소의
에너지
준위를 채우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전자는 1897년 영국 물리학자 조지프 톰슨에 의해 발견됐고 양성자는 1920년 영국 핵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에 의해 발견됐다. 전자도 양성자도 알 수 없던 시절에 ... ...
[과학게시판] UST 2019년 후기 신입생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정부 지원 방향에 대한 현장 의견을 들었다. 국립대구과학관에서는 전통 천문과학, 수소
에너지
등 주요 전시물을 체험하고 안전한 과학체험 프로그램 확대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문 차관은 “대구는 뇌연구등 첨단융합연구와 DGIST를 통한 고급인재양성이 이뤄지는 도시”라며 “지역 과학문화 ... ...
[Science토크]'저장시설 포화까지 2년' 답 못찾는 사용후핵연료 처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같은 재활용 기술도 함께 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당장에는 탈원전 논의와
에너지
방향성이 시급해 보이지만 후대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탈원전 논의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습식저장소(수조).한국수력원자력 제공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
2019.01.19
힘든 일이요 가급적 일하지 않으며
에너지
를 보존하거나 최소한 적절한 페이스로 일하며
에너지
를 한번에 다 태워버리지 않는 것이 어쩌면 더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삶의 방식일 것이다. 그걸 알고있으면서도 누군가 저런 비인간적인 기준을 꺼내면 아 저렇게 살아야하나 보다고 금새 귀가 ... ...
2040년 메이드인 코리아 수소차 620만대 전 세계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현재로선 없다”며 “수소가 우주에 가장 많은 물질이라거나 배출물로 물만 나오는 청정
에너지
라는 식의 어설픈 주장만 믿고 너무 섣부르게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건강을 위해 매일 따로 ‘1만 보’를 걷거나 이에 상응하는 운동을 해야 하니 시간과
에너지
낭비가 아닐 수 없다. ‘뭐 우리만 그런가? 동물인 이상 움직여야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미국의 월간과학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실린 글에 따르면 우리 인간은 유독 많은 신체 활동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블랙홀 진화와 코로나 감소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모양을 닮은 강착원반 속 블랙홀이 있는 것이 보인다. 블랙홀을 둥그렇게 감싸고 있는 고
에너지
입자들인 하얀색 코로나와 푸르스름하고 신비스러운 빛깔의 기둥인 제트도 볼 수 있다. 그간 천문학계에서는 제트의 발생요인이 코로나와 강착원반 중 무엇인지 고민해왔다 에린 캐라 미국 메릴랜드대 ... ...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이런 손상 효과는 다른 약독성 물질과 함께 있을 경우 극대화 됐다. 가령 금 이온과 미세플라스틱을 동시에 흡수한 제브라피시 배아의 미토콘드리아는 심하게 깨지거나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