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英, 실명 일으키는 황반변성 유전자 치료 최초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용액을 눈 뒤쪽 황반에 주입한다. 인체에 무해한 이 바이러스는 망막 세포를 감염시키고
DNA
를 세포에 전달한다. 이 유전자는 눈에서 세포가 죽는 것을 막고 황반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단백질이 형성되도록 한다. 연구팀은 지난 12년간 눈 질환의 진행을 늦추거나 중단시키는 유전자 ... ...
나이 먹을수록 독감백신 안 듣는 이유는 ‘B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하지만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해마다 유행하는 균주가 다르다.
DNA
보다 불안정한 RNA에 유전정보가 들어 있어 돌연변이가 많은 탓이다. 돌연변이가 많을수록 바이러스 수용체도 다양하다. 그래서 매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올겨울 유행할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주를 ... ...
석유에서 부작용 없는 약물 핵심성분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매우 중요하다. 한쪽은 약이어도 다른 한쪽은 독약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체 내
DNA
나 단백질 같은 물질은 대부분 거울상 이성질성을 갖고 있다. 들어오는 약물의 구조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나타낸다. 1950년대 유럽에서 판매된 ‘탈리도마이드’가 대표적 예다. 이 물질의 한쪽 거울상 ... ...
인공근육에 쓰는
DNA
닮은 고탄성 전기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구조의 ‘꼬인’ 구조를 지니는데, 좁은 세포 핵 안에 가능한 많은
DNA
를 넣기 위해 꼬인
DNA
를 여러 번에 걸쳐 다시 꼬는 ‘슈퍼코일’ 구조를 지닌다. 손 연구원팀은 의료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신축성 소재인 스판덱스 섬유를 탄소나노튜브로 감싼 뒤 이를 여러 번 꼬아서 슈퍼코일 구조를 완성했다. ... ...
내가 우울한 건 ‘장내 미생물’ 때문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참여한 유럽의 대규모 임상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장내미생물 게놈(어떤 생물이 지닌
DNA
의 총합)과 임상의학 정보를 얻었다. 또 이들이 사전에 한 ‘삶의 질’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해 우울증과 삶의 질, 그리고 장내미생물 구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우울증 환자와 보통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유럽 토끼 152마리의 게놈 서열을 분석했다. 사는 곳과 환경이 달랐음에도 세 곳의 토끼는
DNA
속 비슷한 위치의 면역 관련 유전자가 변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게서 생산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인 인터페론의 활성화 정도가 높아진 것이다. 연구팀은 “세 ... ...
암 유발 후성유전 인자 ‘히스톤 단백질’ 변성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화학적 변성은 세포 분화와 개체 발생 및 다양한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크로마틴은
DNA
와 4종의 히스톤 단백질로 이뤄진 핵산단백질 복합체인 거대분자 복합체다. 원핵생물 내 유전체의 생리적인 상태를 보여준다. 이 크로마틴을 구성하는 4종의 히스톤 단백질 중 히스톤 H3의 효소에 의한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연구에 참여한 안젤리카 아몬 생물학과 교수는 “
DNA
복제 동안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세포가 분열을 멈추고 스스로 수리하는데 이때 부피가 약간 커진다”면서 노화 세포가 커지는 이유를 설명했다. 연구팀은 세포가 성장할 때 유형에 따라 적절한 크기까지 ... ...
美연구진, 대장균 유전자도 교정하는 ‘크리스퍼’ 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연구진이 크리스퍼-CasX 기술을 적용한 결과 인간 유전체 교정은 물론 대장균의 특정
DNA
와도 결합해 잘라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 규명한 크리스퍼-CasX 기술이 새로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플랫폼으로 유전자 치료 연구 및 새로운 약물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도 활용될 ... ...
실험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4
동안은 2년마다, 이후에는 25년마다 두 그룹의 유리병에서 박테리아를 꺼내 생존 능력과
DNA
손상 정도를 각각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박테리아가 담긴 유리병은 현재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연구진은 지난해 12월 4일(현지시간) 전체 500년 가운데 첫 2년 동안 건조 보관돼 있던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