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변이 15분만에 진단하는 휴대용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크리스퍼 효소가 들어간 복합체를 붙인다. 여기에 붙은 크리스퍼 효소에 맞는 특정
DNA
가 있다면 그 부분을 크리스퍼 효소가 가위처럼 잘라내 붙이게 된다. 그래핀 표면에 붙은 물질이 바뀌면 그래핀 소자의 저항이 미세하게 바뀌는데 그래핀의 높은 전도성으로 이를 감지해내는 것이다. 연구팀이 ... ...
바이오젠, 유력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임상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KIST) 뇌과학연구소 신경과학연구단장팀은 환경과 스트레스 등이 뇌세포
DNA
의 사용법을 바꾼다는 ‘후성유전학’ 개념을 이용해 임상 환자로부터 역으로 치매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다. 후성유전학적 변형을 막는 방식으로 치료제 개발로도 연결될 수 있다. 류 단장은 "근본 원인 연구를통해 치매의 ... ...
우량 정자 대량 생산,50년전 얼린 정자 해동…스펌 엔지니어링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동결 보존시켰던 것이다. 호주 시드니대 연구팀 이 정자들을 해동시킨 뒤 움직임과 속도,
DNA
상태 등을 조사해 아무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 냉동 정자를 이용해 양 56마리를 인공수정시켜 이 중 34마리로부터 새끼를 얻었다. 출산 성공률 61%로, 1년간 얼렸던 정자로 인공수정 했을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2014년 일본과 중국의 공동연구자들은 파인애플딸기의 게놈을 해독해 학술지 ‘
DNA
연구’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2배체 야생 딸기 네 종의 게놈도 해독해 앞서 숲딸기 게놈과 함께 비교했다. 그 결과 숲딸기의 직계조상과 함께 일본 고유종인 F. iinumae의 직계조상이 파인애플딸기 게놈에 ... ...
“유독한 환경-스트레스가 치매 일으켜” 류훈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달라진다. 치매도 그 결과다. 그는 실제 환자의 뇌에서 이 현상이 일어나게 하는 원인인
DNA
구조 변화 현상(히스톤 응축)까지 밝혀냈다. 류훈 KIST 뇌과학연구소 신경과학연구단장이 연구원들과 자세를 취했다. 그는 “성실한 한국 학생과의 협업도 한국행을 택한 이유 중 하나”라고 밝혔다. ... ...
'알파고'후배 '알파폴드'도, 북한도 뛰어들었다…단백질 구조예측
과학동아
l
2019.03.16
우승했다”고 설명했다. 아미노산 서열 30% 같으면 구조는 80% 닮아 핵에 들어있는
DNA
속 염기 세 개(코돈)는 아미노산 한 개에 해당한다. 세포에서 단백질 합성 공장 역할을 하는 리보솜이 각 코돈에 맞는 아미노산을 이어 붙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백질은 100~20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다. ... ...
7개국 학자들 "정자·난자·배아 유전자편집 임상 멈춰야"
연합뉴스
l
2019.03.15
14일 모라토리엄(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다음 세대로 유전되는 정자와 난자의
DNA
(유전물질)에 대한 변형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 생식세포 외에 배아에 대한 유전자 편집 임상도 멈출 것을 학계에 촉구했다. 이런 목소리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 ...
'최강 B형간염 치료제'를 무력화하는 내성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바이러스 돌파 현상이란 항바이러스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DNA
가 최저점으로부터 10배 이상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연구 결과 내성 바이러스는 바이러스가 가진 중합효소 유전자 4군데에 돌연변이가 생겨, 약효를 15분의 1 이하로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훈 ... ...
치매 잡는 유전자가위 최초 개발…동물실험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데다, 바이러스가 아니기 때문에 세포 독성도 훨씬 낮다. 분석 결과 나노복합체는 다른
DNA
손상 없이 Bace1 유전자 부분만 말끔하게 잘라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쥐의 해마에 이 나노복합체를 적용했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다. 그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 ...
배아 수호하는 남성 호르몬
과학동아
l
2019.03.11
2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발달 과정에서 결함이 있는
DNA
를 복제하고 복구하는 기작을 거친 배아의 생존율을 조사했다. 이 기작은 배아에 염증을 유발한다. 조사 결과 수컷 배아의 생존율이 암컷 배아의 생존율보다 3배 이상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쉬멘티 교수는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