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인
보증인
뉴스
"
증거인
"(으)로 총 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젊은 뇌 유지하려면 집안일을 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게티이미지뱅크 집안일과 같은 가벼운 활동이 뇌의 노화를 막아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결과로 운동을 하면 뇌가 건강해진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또 하나 늘었다. 니콜 스파르타르노 미국 보스턴대 내분비학과 교수 연구팀은 가벼운 활동이라도 운동을 한 사람들의 경우 그렇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9일 우주 머나먼 곳에 있는 거대한 돌덩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이 찍은 소행성 ‘162173 류구’의 모습이다. 류구는 지름이 1㎞인 팽이 모양 소행성이다. 지구로부터 약 3억 ㎞ 떨어져 있다. 과학 ... ...
죽은 지 4시간, 뇌세포가 다시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죽은 지 10시간이 된 돼지의 뇌를 분리해 해마 부위를 형광물질을 이용해 관찰했다. 왼쪽은 보통의 뇌고, 오른쪽은 미국 예일대 연구팀이 ‘브레인엑스’ 기술로 액체를 주입해 일부 뇌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킨 사진이다. 신경세포(녹색) 및 성상교세포(붉은색), 세포핵(파란색. 세포 파괴의 증거)의 ... ...
'과학은 예술로 통한다'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 빅뱅머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과학의 아름다움(The Art of Science)' 시리즈. IBS 제공 거대한 퀼트일까, 아이들이 뛰어노는 놀이터일까. 아슬아슬한 사다리와 재미난 미끄럼틀처럼 보이지만 이곳은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 기하학적인 구조와 알록달록한 색깔을 자랑하는 이것은 대형 강입자 가속기(LHC)다. 인류 역사상 최대 과 ... ...
"중국 미세먼지 줄어도 한국 미세먼지 유입량 줄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감소가 한국으로 오는 미세먼지양의 감소로 이어지지는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과 경기, 충청 등 전국 곳곳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날 서울 세종로사거리 일대이다. 연합뉴스 제공 중국이 미세먼지 감축 정책을 펴고는 있지만 한국으로 미세먼지 이동량을 줄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에서 나온 새로운 인류의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9.04.13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고대 인류의 이빨 두 개를 이번 주 표지에 실었다. 필리핀 북부 루손 섬의 칼라오 동굴에서 발굴된 이빨 화석이다. 약 5만~6만 7000년 전 화석으로 추정된다. 형태나 크기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나 호모 에렉투스처럼 같은 시기 아시아에 살던 인류와 다르다. 아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관측을 통해 얻은 최초의 블랙홀 영상. 사진제공 EHT 인류가 ‘블랙홀’의 핵심부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데 사상 처음으로 성공했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개념이 등장한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적인 증거를 통해 눈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이끈 쉐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연구팀이 이달 10일 세계 최초로 초대질량 블랙홀의 증거와 모습을 공개했다. 전 세계 협력에 기반한 8개의 전파망원경으로 구성된 EHT를 통해 관측한 것이다. 이번에 공개한 영상은 처녀자리 은하단의 중심에 존재하는 거대은하 M87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을 관찰한 것이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독일의 물리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는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자 3개월 만에 첫 번째 풀이를 구했다. 여기에서 블랙홀의 수학적 개념이 처음 등장했다.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블랙홀의 존재가 이론적으로 예견된 것은 불과 10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최초의 블랙홀 영상. 사진제공 EHT 인류가 ‘블랙홀’의 핵심부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개념이 등장한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적인 증거를 통해 눈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이끈 쉐퍼드 도엘레만 미국 하버드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