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외부물질로 인식한 박테리아가 이를 공격해 파괴하는 것을 막아준다.왕 박사는“인공DNA의 앞뒤에 붙이는 파수꾼은 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며“박테리아가 1백세대를 지나도 삽입된 정보는 다음 세대로 전달돼 박테리아의 게놈 속에 안전하게 저장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
- 섹시한 냄새의 비밀과학동아 l2003년 02호
- DNA(디옥시리보핵산)나 RNA(리보핵산)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DNA바이러스와 RNA바이러스로 구분하게 된다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 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외력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대로 되돌아가려는 성질 체적의 변화에 대해 일어나는 ... ...
- 두려움 없애는 신호전달 단백질 발견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유전자들을 추적하기 위해 소뇌편도에서 발현되는 DNA와 뇌의 다른 부위에서 발현되는 DNA를 비교한 결과 소뇌편도에서만 높은 농도로 발현되는 두개의 유전자를 찾았다.연구팀은 그 가운데 grp유전자로부터 만들어지는 GRP 단백질이 소뇌편도에 신호를 전달하는 주변 뇌세포에 풍부한 점에 착안, GRP ...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달리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DNA의 유전정보를 받아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DNA가 유전에 관한 '설계도'라 한다면 RNA는 그것의 '전사·번역도'인 셈이다한 개의 칩위에 1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된 회로 최초의 VLSI는 64KDRAM이다 현재 4M(메가)DRAM까지 개발돼 있다마하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과학동아 l2003년 01호
- 함께 GAL4 단백질에 주목하기 시작했다.GAL4 단백질은 크게 두부분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DNA의 특정부위에 결합하는 부위(DBD, DNA-bindong Domain)고, 나머지는 RNA중합효소에 결합하는 부위(AD, Activation Domain)다. 이 두 부위는 원래 하나의 단백질(GAL4)에 있는데, 이를 유전자 조작으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도 절대로 똑같은 영혼을 갖지 않는 것만 보더라도 영혼이 DNA의 직접적인 표현일 수는 없다. 하지만 생물학은 유전학이 아니다. 생물학에는 유전학 외에도 유전자와 환경의 관계를 다루는 생태학이 포함돼 있다.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동일할지 모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절대로 ...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연구가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좀더 공통적인 기반 기술이 필요했다. 즉 유전체학에서 DNA 증폭기술(PCR)이 게놈구조 연구의 전환점이 된 것처럼 단백질도 무엇인가 핵심적이고 기반적인 기술이 필요했다. 인간게놈 연구의 열기가 서서히 식어갈 즈음 분위기가 무르익기 시작했다. 바로 2차원 ...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박사와 중국과학원 징 류 박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6백54종의 개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조사한 결과 지구상 모든 개는 1만5천년 전 동아시아에서 유래했다.돼지 - 스페어 장기 생산 공장돼지는 잡식성으로 인간과 식성이 유사하고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나 생리특성이 인간과 가깝다. 이 때문에 ...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수 있을 전망이다.사업단을 운영하던 초기에 1만여개의 유전자를 구입, 사업단에서 DNA칩을 자체적으로 제작해 국내연구자에게 보급한 일이 최근 좋은 결과를 낳고 있는 것처럼 10년 후 사업단의 연구는 또다른 결실을 맺을 것이다. 즉 한국인의 난치병을 치료하는 신약의 밑바탕을 제공하고, ...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과학동아 l2003년 01호
- 동일한 DNA를 갖고 있는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친자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DNA 프로파일링이 바로 이 방법이다. 현재 복제인간을 추진중인 연구진은 복제아기가 정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황우석 교수는“복제된 개체의 정상여부는태어난 이후에나 확인할 수 있다”면서 기형을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