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둘 중 하나만 갖고 있을 정도로 단순하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RNA 바이러스와
DNA
바이러스로 구분된다. 이번에 문제가 된 사스바이러스는 RNA 핵산만 갖고 있는 RNA 바이러스다.대량생산으로 급속히 번식해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의 세포로부터 상당한 기능들을 빌려 사용한다. 그런데 ... ...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텔레비전, 컴퓨터가 개발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해 왔다. 또한 생명의 신비까지도
DNA
의 원자구조를 통해 밝혀졌다.21세기에는 분자와 원자 단위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활용된다. 즉 NT(나노기술), BT(생명공학기술), IT(정보통신기술) 등이 발전해 실생활에 변혁을 불러올 전망이다. 이를 위해서는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짝짓기를 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금실 좋기로 이름난 원앙의 새끼들을 상대로
DNA
검사를 해봤다. 그 결과 40% 정도는 지아비의 것과 딴판이었다고 한다. 즉 암컷 원앙이 바람을 피웠기 때문이다. 미국에 사는 쥐로선 드물게 가족생활을 하는 집쥐의 일종(Microtus ochrogaster)도 비슷한 결과치를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하나의 유전자가 아니라 여러 유전자들이 집단으로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며 동물의
DNA
내에 존재한다. 특히 플라나리아 같은 편형동물에서부터 인간까지를 아우르는 좌우대칭동물의 경우에는 hox 유전자 클러스터가 적어도 7개 이상의 유전자로 구성돼 있다. 반면 이전에 존재했을 것으로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경찰은 휴대용 PCR 기계를 들고 다니면서 사건현장에서 발견되는 체액의 분석 결과를
DNA
은행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해 대조함으로써 곧바로 용의자의 신원을 추적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10년 후쯤엔 ‘유전자탐정 김전일’이 만화로 등장하지 않을까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DNA
라고도 한다 절단되지 않은 고리닫힘(閉環狀)
DNA
에는 비틀림이 있지만 고리열림
DNA
에는 비틀림이 없고 분자 전체로서 고리모양을 나타낸다 고리화합물이 고리를 열면서 중합체를 만드는 중합법 기구적으로는 대부분이 이온반응이고 라디칼반응은 거의 없다 트리옥산에서 폴리산화메틸렌,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결정적인 발견을 했던 상황 등을 되돌아봤다. 참석자 모두는 이구동성으로 50년 전
DNA
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됨으로써 신의 영역에 속했던 생명의 신비를 인간이 시험관 안에서 연구하는 시대가 열렸고, 관련된 거의 모든 과학자들이 생존해 있는 상황에서 인간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을 읽어냈다는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35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 유전자'(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전달 RNA강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어귀에 퇴적물이 쌓여 삼각형 ... ...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50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과정에서 수많은 연구자가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미생물
DNA
를 중심으로 응용연구가 한창 진행중이며, 이 열기는 RNA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분자생물학 중심의 편협된 시각을 우려하는 통합생물학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중나선 발견 이후 생물학이 어떤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인간의 생명을 창조하면서 사용한 언어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DNA
구조 발견이 생물학의 파편화를 가져왔다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 생물학 분야를 너무 세분화·정밀화시켜, 같은 주제를 연구하는 과학자 사이에도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는 비판의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