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부임한 것은 한국 학생들에 대한 애정 때문이었다. “박사 과정과 박사후연구원까지 총 13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들어오는 게 쉽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일리노이대에서 한국 학생들이 정말 똑똑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기초 지식이 탄탄한 데다 열정적이고 동료의식이 커 연구에 ...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모집하는 대회지요. 12월 20일까지 아이디어를 모집해, 그 중 가장 뛰어난 세 팀에게 총 3만 달러(우리 돈 3000만 원 가량)의 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랍니다.12월 6일 현재, 개인과 팀을 포함해 1만 5000명 이상의 도전자가 대회 홈페이지(herox.com/SpacePoop)에 등록했어요. 마치 장난 같은 대회지만, 배설물의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주인공으로 가장 먼저 수료증을 받았답니다. 한편 수료 기준인 3종 이상을 수료한 팀은 총 34팀으로, 모두 수료증과 푸짐한 선물을 받았지요.이번 수료식에는 특별한 상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수원 청개구리상’, ‘제비상’, ‘매미상’이었답니다. 6종의 생물 중 한 종을 수료한 팀들이지요.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2014년 9월과 2015년 6월에 브라질 세라다카피바라 국립공원의 카푸친원숭이가 만든 석기 총 111개를 모았답니다. 전체 석기들의 평균 크기는5cm 정도였으며, 그 중 약 54%는 한쪽 면이 날카로운 돌도끼 형태였어요.연구팀은 이 석기가 약 250만에서 170만 년 전의 구석기인들이 만들어 사용했던 ...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유발하는 용액을 주사해 위 내용물을 스스로 토해내게 했어요. 그 결과 이 토사물에서 총 44종류의 개미를 확인했지요. 또 새로운 종인 ‘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 개미도 발견했답니다(위 사진). 이 개미는 몸길이가 0.7cm 정도이고, 길고 큰 주둥이로 흰개미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먹지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만들어 나갈 수 있답니다. 145개국에서 참가한 20만 명 이상의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총 250개의 뉴런을 완전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뇌 과학자들은 이렇게 모여진 지도를 바탕으로 포유류의 복잡한 뇌 구조를 더 자세하게 탐구할 수 있게 되었지요.이처럼 컴퓨터가 발전하고 네트워크가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다른 사람이 열기 어렵다는 것을 뜻해요.예를 들어 4자리 숫자로 만드는 비밀번호는 총 1만 개를 만들 수 있어요. 우리나라 인구 수(2016년 6월 기준)만 약 5000만 명 정도니까, 나와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람이 여럿일 수 있지요.반면 홍채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알려져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다른 사람이 열기 어렵다는 것을 뜻해요.예를 들어 4자리 숫자로 만드는 비밀번호는 총 1만 개를 만들 수 있어요. 우리나라 인구 수(2016년 6월 기준)만 약 5000만 명 정도니까, 나와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람이 여럿일 수 있지요.반면 홍채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알려져 ...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사는 터전이에요. 갯벌에 사는 게 종류만 200종에 달하지요. 이 밖에도 개불, 쏙, 조개 등 총 800여 종의 생물이 살고 있어요.이런 생물들은 갯벌에 구멍을 파서 서‘ 식굴’을 만들고 살아요. 갯벌 생물들의 집인 서식굴은 포식자를 피할 수 있는 피난처이자, 썰물 때 숨을 쉴 수 있는 생존의 공간이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1978년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 규모 5.0을 넘는 것은 총 9번으로, 이 가운데 대부분이 경주, 울산 등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 일어났답니다.우리나라에 있는 활성단층은 현재까지 약 60여개가 확인됐어요. 그런데 이 가운데 특히 큰 활성단층들이 경산, 울산,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