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진짜로 우주선이 앞으로 나가기 시작했다!화면 속의 우주선은 분홍색, 파란색, 초록색 총 세 대였다. 게임 초반에는 세 대의 우주선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했다. 그런데 파란색 우주선에 ‘집중’을 하자 파란색 우주선이 다른 우주선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꽁무니에서 터보엔진 불길을 뿜으며 속도를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부임한 것은 한국 학생들에 대한 애정 때문이었다. “박사 과정과 박사후연구원까지 총 13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들어오는 게 쉽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일리노이대에서 한국 학생들이 정말 똑똑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기초 지식이 탄탄한 데다 열정적이고 동료의식이 커 연구에 ... ...
-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컴퓨터단층촬영(CT)과 X선 등으로 호박 속 꼬리 깃털을 자세히 관찰했지요.꼬리 길이는 총 36.73mm로 윗부분은 적갈색, 아랫부분은 흰색 깃털로 덮여 있었어요. 호박 속에는 8개의 척추 조각과 근육, 인대, 피부 흔적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답니다.또한 꼬리의 깃털에는 ‘우축’이라고 불리는 깃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친구들은 한국수달연구센터 김형후 연구원님께 ‘수달 수업’을 들었어요.“지구상에는 총 13종의 수달이 살아요. 만화 ‘보노보노’로 유명한 해달, 악어와 아나콘다를 잡아 먹는 자이언트 수달 등 그 생김새와 특징이 제각각 다르지요.”13종류의 수달 중 우리나라에는 ‘유라시아수달’ 한 종만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다시 죽게 둘 수는 없었습니다.그러는 동안 비공식적인 프레젠테이션이 계속되었습니다. 총네 팀이 따로따로 찾아와 그간 자기들이 해왔던 일을 늘어놓기 시작한 것이죠. 남선 오빠를 제외하고 두 명 팀이 세 팀, 세 명 팀이 한 팀이었습니다.첫 팀은 미국 엔지니어들과 기계 의수, 의족과 인공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레졸루션(JR)’, 일본의 ‘지큐호’, 유럽의 ‘이코드 특수임무 조사선(ECORD MSP)’까지 총 세 대예요. 조이데스 레졸루션(왼쪽 큰 사진)은 다양한 곳을 탐사하는 데 사용돼요. 깊은 곳을 탐사할 땐 지큐호가, 북극처럼 탐사가 어려운 지역은 특수임무 조사선이 나서지요.이 탐사선들 중 지큐호는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 그런데 2010년 이후부터 2012년과 2015년, 그리고 올해까지 총 3번 윤초가 추가됐고, 2018년에도 추가될 예정이다.전문가들은 앞으로 윤초 문제가 계속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구의 자전 속도가 계속 느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달과의 조석 마찰이 지구의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km나 되는 시추파이프를 싣고 있어 수심이 4000m가 넘는 바다에서도 시추가 가능하다. 배는 총 6층으로 선두 쪽에는 선실, 실험실, 시추시설 등이 있고 맨 후미의 엔진실 위에는 헬리콥터 이착륙장이 있었다. 승무원과 과학자를 100명 넘게 태울 수 있다.8월 9일 콜롬보항을 출발해 드디어 시추현장에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유성운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3년 전에 만든 마이크로 로봇을 개선한 겁니다. 총 6년 정도가 걸렸네요.”최 교수와 유 교수는 DGIST 설립 초기 멤버로, 전공은 달랐지만 평소 친하게 지냈다. 서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잘 알고 있었기에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최홍수 교수가 난치병 치료제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콜로라도 대학 연구팀과 함께 콜로라도 주의 백악기 지층을 조사하던 중이었지요. 이후 총 50여 개의 지점에서 60개가 넘는 구덩이를 발견했어요.구덩이의 크기는 최대 길이가 2m 정도로 매우 거대했답니다. 이 구덩이는 백악기에 살았던 아크로칸토사우루스가 만든 흔적화석이었어요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