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문제풀이부’는 수학동아부가 가져온 문제를 푸는 일을, ‘EBS부’는 재밌는 수학관련 영상을 찾아오는 일을 했다. 톱니바퀴가 돌아가듯 펜로즈는 점차 동아리다워졌다.즐거운 수학, 함께 나누다가장 인상 깊었던 경험을 물어보자, ‘봉사활동’을 첫 손에 꼽는 학생이 가장 많았다.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상으로 바꿔 주는 곳이다. 거대한 4개의 프로젝터가 하나의 입체 영상을 만든다는 이야기에 독자 기자의 눈이 번뜩였다. 사용자의 움직임과 시선을 파악해 필요한 정보를 보여 주는 특수 안경도 있었다. 사람의 뇌를 연구하는 과학자가 이 안경을 쓰고 화면 속의 뇌를 보면 그 ...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게 우리 눈에 잘 안 보인다는 것.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이 돈을 쏟아부어 영상과 그래픽을 만드는 데는 이유가 있다. 사람들에게 직접 보여줄 방법이 없으니까.우주를 이해할 때 일상 언어는 꽤 요긴하다. 대중을 위한 천문학 잡지를 만드는 비영리단체 ‘우주라이크’에서는 우주에서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과정에서 서서히 중독이 된다. 실제로 음식에 탐닉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해보면 약물이나 알코올에 중독된 사람의 뇌와 매우 유사한 활성을 띤다. 약물 중독을 다룬 44개 연구와 섭식 장애를 연구한 13개 논문을 종합 분석(메타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뇌의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민간 기업은 다르다. 투자할 수 있는 비용이 국가 기관에 비해 적고, 굳이 30cm급 고해상도 영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이 때문에 항우연은 아리랑 위성 외에도 ‘차세대중형위성’ 계획을 갖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은 아리랑 위성이 다이어트를 한 형태다. 1t이 넘어가는 거대 위성을 500kg급으로 ...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미래의 생태학자들, 한자리에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적극 참여한 팀이에요. 빌로드재니등에, 장미가위벌 같은 생소한 곤충들의 생생한 영상과 멋진 꽃 사진을 보여주었어요. 고민욱 대원은 “가족과 함께 다니며 친해질 수 있어서 더욱 좋았다”는 소감을 남겼어요.에너지 팀에너지 팀의 이태규, 이태경 대원은 “하루 두 시간밖에 못 잤던 ...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생각한다”고 대원들을 칭찬했답니다.이날 제인 구달 박사님은 지사탐을 위해 특별 영상 편지를 보내왔어요. 제인 구달 박사님은 “지금 대원 여러분의 활동은 먼 미래에 여러분의 손자손녀들이 자연에서 뛰어놀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하고도 큰 일”이라고 말씀하셨답니다.“친구들이 모두 ...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합친 단어인 ‘미디어 파사드’라고 부른답니다. 광화문 담벼락을 화려하게 수 놓은 이 영상은 빔 프로젝트 36대를 이용한 어마어마한 작업이었대요.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던 음악인 ‘제례악’을 연주하고 부채춤을 추는 로봇도 있어요. 사람을 대신해서 재난상황에 투입되거나 아주 정교한 ...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판단할 수 있다고 해.필요한 경우 골반을 초음파로 검사하거나 뇌를 MRI(자기공명영상) 촬영하기도 한대. 검사가 무척 복잡해 보이지만 주사를 맞을 때 한 번 따끔한 것만 참으면 된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말 것! 성조숙증, 전부 다 치료하는 건 아니라고?성조숙증으로 진단된다고 해서 모두 치료를 ...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있거든. 수학을 과학의 언어라고도 하는 이유지. 최근 각광받는 빅데이터, 암호, 영상 기술 같이 미래를 선도하는 기술에도 수학이 핵심이라고. 수학이 없으면 과학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단다.수학을 어렵고 재미없게 생각하는 친구들도 있을 거야. 하지만 수학은 실생활에서 안 쓰이는 곳이 없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