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08
키틴질로 세포에 상처를 내지 않기 때문이다.2004년 미국 조지아공대 바이오분자가공
학과
의 마크 프로스니츠 박사팀은 지름 1~1000μm인 실리콘 마이크로 주사바늘을 개발해 ‘저널 오브 메탈스’에 발표했다. 프로스니츠 박사는 “이 주사바늘은 아주 가늘어 신경 말단을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아프지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08
적색편이된 빛인 적외선을 분석해 초기 우주의 은하를 연구하고 있다면 연세대 천문
학과
이영욱 교수팀과 이석영 교수팀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을 분석해 은하 진화 과정을 탐색하고 있다. 2003년 우주에 올린 자외선망원경 갤렉스(GALEX)는 이들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만든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08
변하며 시든다. 오이 육종의 화두는 냉해에 저항성을 갖는 품종 개발이다.동국대 생명과
학과
정상민 교수팀은 오이의 냉해 저항성 유전자를 찾던 중 이 형질이 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르지 않고 모계(母系)로만 전달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7월 1~3일 대전에서 열린 한국육종학회 40주년 기념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08
한마디로 ‘죽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가 MIT에서 유학하던 1981~1986년 당시
학과
가 거의 문을 닫을 지경이었으니까요.”그의 말에 따르면 함께 공부하던 동료들 대다수가 취업을 못하는 상황까지 찾아왔다. 하지만 그는 홀로 프랑스로 건너가 미처 마치지 못한 공부를 더 했다. 그곳에서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08
사람들도 있다. 이른바 ‘접신(接神)’을 하는 무속인들이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과
학과
채정호 교수는 접신으로 귀신을 본다는 무속인 2명의 뇌를 단일광자방출컴퓨터단층촬영술(SPECT)로 분석했다. 접신을 할 때 뇌의 어떤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었다.분석 결과 채 교수는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08
지난해 서울대 자체 조사결과에 따르면 연구단은 의대를 포함한 서울대 이공계 전체
학과
에서 SCI논문을 3번째로 많이 내는 연구실로 선정됐다. 최근 3년간 64편의 논문을 내 평균 한 달에 2편꼴로 논문을 낸 셈이다. 이 교수는 “플라즈모닉스 분야의 중심에 우뚝 설 연구단을 지켜봐 달라”고 포부를 ... ...
원자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0908
자세가 필요하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국내외 연구소에서는 대
학과
연계한 연구를 많이 진행하기 때문에 대학원에 진학하면 심화되고 전문화된 원자력시스템공학의 응용분야를 연구할 수 있다. 대학원은 학부에서 전반적인 전공에 대한 지식을 익힌뒤에 진학할 수 있다.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07
부화할 때까지 숨겨줄뿐더러 미생물 감염도 막아준다. 영국 글래스고대 생태학·진화생물
학과
말콤 케네디 교수팀은 퉁가라 개구리가 물이 없는 샬레 위에 거품둥지를 만들게 한 뒤 관찰했더니 3일 뒤에 올챙이들이 무사히 부화했다. 연구자들은 “거품둥지가 오랫동안 거품을 유지할 수 있는 ... ...
몸짱만든다는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07
보낸다. 신장은 혈액에서 요소를 걸러 소변으로 배출한다. 인제대 ?울백병원 가정의
학과
김철환 교수는 “신장이 건?한 사람은 요소의 양이 갑자기 많아져도 큰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이런 현상이 지속되거나 선천적으로 신장이 약한 경우에는 신장에 무리를 준다”고 설명했다.위험한 단백질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좀 더 원시적인 호모속 인류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고 설명했다.미국 하버드대 인류
학과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같은 호에 실린 해설논문에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조상이 초기 호모속 인류인 호모 하빌리스일 가능성을 언급했다. 리버만 교수는 “발뼈 구조를 보면 걷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