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강연"(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왜 생물학을 공부하는가2015.05.31
- 5월 27일 카오스 강연 현장. 이현숙 교수는 이날 암의 기원을 주제로 대중 강연을 펼쳤다. - 카오스재단 제공 “‘소리 나는 라디오를 분해했다가 다시 합쳐도 변함 없 ... 국립생태원 원장을 마지막으로 올해 상반기 카오스 강연은 막을 내리니 시간을 내 강연장을 찾는 것도 좋겠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5.29
- 깊숙이 숨기고 있는 어머니와 같은 바다였다. 전봉환 실장은 YTN 사이언스 ‘사과나무’ 강연에서 말했다. “3차원 공간으로서 바다는,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공간의 99%를 차지합니다. 발견된 생물은 140만 종인데, 아직 발견되지 않은 2000만 종이 바닷속에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7800만km ... ...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05.28
- 어디든 달려가는 열혈 청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도마뱀 화석을 연구했으며, 블로그와 강연을 통해 과학의 대중화에 노력하고 있다. stegosaur@hanmail.net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6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 [신문과 놀자!/박병하의 수학 다르게 보기, 제대로 보기]짧은 막대로 건물 높이를 잴 수 있어요동아일보 l2015.05.27
- 나게 탁탁 손을 털었다. 속이 뻥 뚫렸다. 시원했다. 다시 삶의 지혜를 들으러 들어가야지. 강연장으로 들어가며 나는 생각했다. ‘역시, 수학으로 생각하니 참 즐겁구나. ○ 더 생각해보기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고 다음 문제를 친구들과 토론해 볼까요. 1. 0÷0은 무엇일까? 2. 어떤 수든 거기에 0을 ... ...
- [미래를 듣는다 11] “‘하이리스크-하이리턴(고위험 고수익)’ 연구에 도전해야” 2015.05.26
- 영일만에 포스코를 만들었던 용기와 도전 정신, 혁신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강연이 끝난 뒤 박 원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구글X의 협력을 예로 들어 국가 연구소와 민간 연구소가 점점 협력하는 추세라고 하셨습니다. 국내 연구도 이 ... ...
- [미래를 듣는다 10] “SW 중심사회에 맞는 새로운 대응 필요”2015.05.25
- 육성해야 한다”면서 “SW 친화적 문화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소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SW는 인류역사 상 최고의 기술이라고 하셨는데요, 결국 미래를 변화시키고 책임질 기술이 SW라고 생각하는지요. “SW 기술은 ... ...
- 대학생들이 만든 ‘따뜻한’ 기술로 소외지역 돕는다2015.05.23
- 나눔과기술 공동대표인 김찬중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전 세계 인구 중 90%는 경제적, 기술적으로 고립돼 있는 약자들”이라며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이 소외된 약자들을 위한 기술 개발과 보급에 관심을 가질 때 지속 가능한 미래가 보장될 ... ...
- “저는 웜홀이 있다고 믿습니다”2015.05.20
- 겁니다.”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는 20일 서울디지털포럼(SDF2015)에서 기조강연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최대 흥행작인 영화 ‘인터스텔라’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책임 프로듀서로 영화 제작에 참여한 손 교수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을 ‘크리스’라는 애칭으로 부른다”며 ... ...
- 2014 브라질월드컵 ‘기적의 시축’ 만든 니콜렐리스 교수 2015.05.20
- 뇌파로 로봇팔을 함께 움직이는 실험이 그것이다. 그는 이런 내용을 토대로 20일 기조강연을 한다. “쥐가 생각의 힘으로 로봇팔을 움직인 지 불과 15년 만에 하반신 마비 환자가 로봇 다리를 움직여 시축을 했습니다. 또 이제는 뇌와 뇌를 서로 연결했어요. 앞으로 15년 후엔 또 어떤 발전이 있을까요 ... ...
- 6월, 전 세계 과학저널리스트들이 몰려온다2015.05.12
- 17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위원회를 통해 1년여 이상의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기조강연자로는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 2014년 퓰리처상 수상자인 댄 페이긴 미국 뉴욕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또 1992년 퓰리처상 집중보도 부문을 수상한 데보라 블럼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