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강연"(으)로 총 1,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나는 공부]세계 무대서 활약할 글로벌 융합인재로동아일보 l2015.12.29
- 중심인 뉴욕에 있는 만큼 뉴욕 월가의 기업들과 관계를 맺어 주요 인사를 초청하는 강연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 윤 입학팀장은 “학생들은 미국 본교에서 온 교수진의 강의를 듣고 뉴욕 월가 기업의 노하우를 체득하는 한편 글로벌 금융거래 기법을 구체적으로 배운다”면서 “월가와 한국 ... ...
- [사이언스 브리핑] 지하철 6호선 상월곡 역사, ‘지하철 과학관’으로 변신2015.12.28
- 예정이다. 또 과학교사와 연구원들이 초·중·고교생 등 청소년을 대상으로 강연에 나서는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사이언스 스테이션은 ‘과학의 날’인 내년 4월 21일에 맞춰 개관한다.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 한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 ... ...
- [신나는 공부]한국과학창의재단, 소프트웨어 관리자과정 연수 개최동아일보 l2015.12.22
- 확산되는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수에서 ‘과학, 창의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강연한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숨을 불어넣는 메이커는 창조경제의 문화적 뿌리”라면서 “소프트웨어와 결합한 메이커 문화가 학교현장으로 널리 퍼져야 한다”고 ... ...
- “北 소프트웨어-南 과학기술 인프라 만나면 세계적 경쟁력 발휘할 것”2015.12.18
- ‘평양과학기술대학의 현황과 북한의 변화상’을 주제로 과학기술포럼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남북 합작으로 설립된 평양과기대는 2010년 첫 입학생을 받았다. 불과 5년 만에 김책공대와 김일성대 학생들이 다니던 학교를 그만두고 찾아올 만큼 북한에서 명문대로 자리 잡았다. “입학하면 ... ...
- 피차이 구글 CEO “인공지능 분야 집중 투자”동아일보 l2015.12.16
-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15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구글캠퍼스에서 가진 강연회에서 “AI가 유저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도록 에릭 슈밋 알파벳(구글 지주회사) 회장과 함께 고민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피차이 CEO는 “구글 포토에서 ‘허그(hug)’라는 단어를 치면 ... ...
-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아십니까2015.12.13
- 엔씨소프트 문화재단 전무가 ‘게임을 통한 사회와의 소통’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 한국과학창의재단 제공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은 ‘자기주도형’ 이라는 점입니다. 과학이나 수학을 ‘자기주도형’으로 만들기 위해서 게임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재성 엔씨소프트 문화재단 ... ...
- 재난 보도 수준…세월호와 메르스가 "똑같네"2015.12.10
- 한국과학기자협회가 개최한 ‘메르스 보도 반성과 모색’ 빅포럼이 열렸다. 기조강연에 나선 강대희 서울대 의과대학장과 박광식 KBS 의학전문기자는 “메르스에 관련 재난 보도 내용을 돌아보니 여러 번 재난 상황을 겪고도 성숙하지 못한 언론의 민낯이 드러났다”며 “과열된 보도경쟁보다 ... ...
- “과학자와 시민 간 벽을 허물어야”2015.12.09
- 대중의 과학에 대한 이해의 문턱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기조강연자로 나선 미치나리 하마구치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 이사장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과학에 대한 신뢰가 67.5%에서 37.3%로 약 30%포인트 하락했다”며 “과학커뮤니케이션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 ...
- “대학 공학 교육, 기술 발전 속도 못 따라가”2015.12.01
- 맞춤형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김도연 포항공대(포스텍) 총장은 기조강연에서 “5000년 전에 문자가 만들어지고, 500년 전 책이 만들어지더니, 50년 전엔 컴퓨터가, 5년 전에는 스마트폰이 나올만큼 공학기술은 가속화됐는데 교육은 공학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뿐 아니라 국내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