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모습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그래프이다. 통계청 기준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202
1
년 0.8
1
명으로 홍콩의 0.75명에 이어 세계 최저 수준이다. 이미 통계청은 작년 7월 28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최초로 순인구가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조 교수는 중요한 것은 달라진 인구 구조에 맞춰 예전의 인구 형태에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개발한 ‘미세구조 표면을 이용한 감염성 질병 확산 방지 필름’은 2022년
11
월 한국연구재단 주관으로 열린 ‘2022 산학협력 EXPO’ 학생창업유망팀 300 제품전시회에서 인기상을 차지했다. 이런 연구결과물은 다시 학부생을 가르치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조영태 교수는 “학부생 입장에선 지금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태양광발전은 25℃일 때 발전량이 최고입니다. 이후
1
℃ 올라갈 때마다 약
1
%씩 발전효율이 떨어지죠. 사우디아라비아의 사막에서는 한낮에 65℃까지 패널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게다가 태양광 패널에 사막의 모래바람으로 이물질이 붙으면 태양광발전의 효율은 40%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큰 차이가 없었지만, 햇빛이 약한 겨울에는 WCM 필름을 사용한 식물이 63일간 높이는
1
.2배, 무게는
1
.4배 더 성장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쇼지 스나오 교수는 “필름을 재설계해서 자외선을 녹색이나 노란색 등 다른 색으로 자유롭게 제어한다면, 식물에 따라 광합성에 최적화된 빛을 만들어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새로운 별의 탄생2023년 새해가 밝았어요! 우주에도 새롭게 출발하는 천체가 있습니다. 별의 일생은 너무나 길어서 우리가 볼 때는 항상 같은 모습을 하고 있 ...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2월
1
일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누워 납작한 모양이지만, 가자미와는 반대로 눈이 왼쪽으로 쏠렸습니다. 몸길이가
1
m까지 자라는 등 일반적으로 가자미보다 크기가 훨씬 커서 게나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기도 해요. 입도 가자미에 비해 크고 이빨도 날카롭죠.넙치와 가자미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쏠려 있지 않아요. 둘 다 새끼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과학자가 나타났습니다. 프랑스 릴대학교의 에이메릭 록스 연구팀은 비눗방울을 무려
1
년 넘게 유지시켜 기네스북에 올랐습니다. 중력과 증발을 이겨내고 버틸 수 있었던 비결을 영상에서 친절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7호 특집 기사를 보면 더 자세한 이야기도 볼 수 있으니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더 약한 문제라는 걸 명확히 하기 위해 기사를 수정했다’는 사과의 글을 남겼다.
11
월
1
4일 오류 의혹 2006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교수도 자신의 홈페이지에 ‘장 교수 논문에 오류가 있으며, 수정하는 데 꽤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내용의 논평을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지금까지 인류가 파악한 잠재적위험소행성은 약 2000여 개이며, 그 중에서도 크기가
1
km보다 큰 것은 약
1
000개 미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스콧 셰퍼드 박사팀은 “앞으로 나머지의 소행성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스콧 셰퍼드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2022 AP7이 20
1
4년 ... ...
[DATA MATH]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상황을 대처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어 표적으로 선정했지요. 202
1
년
11
월 24일 DART 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우주선을 발사했어요.
1
0개월이 지난 2022년 9월 26일 우주선이 디모르포스에 충돌하면서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이를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