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현"(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나타내는 0에서 255까지의 숫자로 나타낸다. 인공지능 알파고도 바둑판 이미지를 행렬로 표현해 인식한다. 빅데이터의 빛과 어둠빅데이터가 만드는 장밋빛 미래하루도 빠짐없이 보도되는 수많은 범죄 뉴스는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그런데 만약 범죄를 예견하는 초능력자가 있다면 어떨까?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 종류 이상은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미생물의 특성을 가리켜 ‘유비쿼터스’라고 표현한다.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는 얘기다. 이를 채취해 미생물연료전지 안에 넣으면, 특정 미생물이 살아남아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전기를 만들지 못하는 나머지 미생물은 시스템 안에서 자연적으로 도태된다 ...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영웅끼리만 전투를 벌이는 것이다. 이때 상대방의 전투력에 의한 손실은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 해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선형함수, 쉽게 말해 직선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아군의 전투력이 올라갈수록 피해가 줄어든다. 란체스터 법칙으로 승부 예측하기앞서 소개한 영웅 중 힘이 4인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를 이끈 독일 홈보트대 고대과학사학과 오센드리버 교수는 점토판에 그래프로 표현돼 있지는 않았지만 바빌로니아인들은 이미 속도와 거리, 시간의 관계를 알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바빌로니아인은 원하는 날에 목성이 움직이는 속도와 위치를 알 수 있었다.또한 오센드리버 교수는 ...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게 가능하다고요?”“자, 두 개의 섬을 포함해 모든 육지는 가장 단순하게 점으로 표현하고, 다리는 선분으로 나타내 모두 이어볼게요.”“마치 오일러의 한붓그리기 같아요. 어떤 도형을 이루고 있는 선분을 한 번씩만 그리면서 완성해 나가는 문제요! 앗, 설마 아저씨가 오, 오일러?”한 번에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알바생을 많이 쓴다고 한다. 이외에도 초파리 개체 수 세기, 표현형 확인하기 등 알바가 할 일이 산더미니, 생명과학과 게시판을 지난다면 초파리 알바를 한번 찾아보자.이번에는 대학생들이 주로 알바를 구할 때 사용하는 SNS 페이지에서 꿀알바(?)를 찾았다. 돈 대신 공짜로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조사부터 나서다가 안 먹어도 될 욕만 잔뜩 먹었고.홀로코스트 혹은 제노사이드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국내외에서 이슈가 되자 자연스럽게 이 사람들은 하나의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단체 행동에 나섰다. 처음에는 음식으로 사람을 차별하지 맙시다, 같은 얌전한 캠페인을 벌이더니, 별반 효과가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컴퍼스로 원을 그리며 척도를 계산해 지형의 위치를 파악했다.미지의 세계를 표현한 삼각형도 그냥 새겨 넣은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가운데 원을 중심으로 뾰족뾰족하게 뻗어 있는 7개의 삼각형은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다. 원을 정확히 그리고 이등변 삼각형을 새겨 넣은 것으로 보아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용했다.마야 문명의 수학과 과학은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큰 업적은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과 0을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마야 숫자는 20진법을 기반으로 했다.수의 역사를 통해 정수와 유리수 체계를 배운 뒤, 과거 다양한 문명에서 등장한 숫자를 소개하고 직접 써보도록 한다. ... ...
- [과학뉴스] 호암재단, 6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다. 노벨상 위원회는 유비퀴틴의 이런 작용을 ‘죽음의 키스’라고 표현했다.치에하노베르 박사는 지금까지 꾸준한 기초 연구를 강조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도 40년 동안 자신이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던 비법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성균관대·호암재단이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