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에 도달하면 최소한 모멘트 규모 7.4 이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지진 규모에서 0.2는 지진 에너지가 약 2배 차이난다는 뜻으로, 지진 피해도 그만큼 커질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지진 조기 경보 알고리듬을 만들 때 짧게라도 대처할 시간을 벌어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doi:10.1126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 있게 된다면 우리가 아는 지식의 경계는 훨씬 더 넓어질 것이다. 가속되는 입자의 에너지를 더 높이고 발생한 입자의 빔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쉽게 나노 과학을 연구하고,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며, 신소재를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필요한 기술이 있다. 투명하고 잘 휘어지는 전극이다. 이윤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이동화 박사과정 연구원과 함께 차세대 전극 개발 방식을 독창적으로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쉽게 녹스는 구리나노선, 그래핀으로 감싸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는 반도체를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등 다른 생물의 몸속에 살면서 유전자를 훔쳐와 자신의 유전자로 삼았던 거예요.미국 에너지부 프레데릭 슐츠 연구원은 “숙주 생물에서 효율적으로 증식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라고 말했어요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등 안전 시설은 홍수 피해에 취약하다. 세계개발센터(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환경과에너지팀은 2009년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84개국의 해안 지역이 해일에 얼마나 취약한지 조사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해안 중 61%가 해일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쿠웨이트에 이어 2위였다. 반 소장은 “2002년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구의 심해 열수구와 유사한 환경이다. 연구팀은 빛 대신 화합물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에너지를 얻는 미생물이 지구에서처럼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NASA는 현재 ‘엔셀라두스 라이프 파인더’ 라는 카시니의 후속 임무를 고심하고 있다. 2010.11 ‘레아’에서 산소를 발견하다카시니는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살지 못한다. 대신 석유나 가스가 유출되는 지역에서는 메탄가스, 황화수소, 석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삼는 미생물이 산다. 이들은 아스팔트 화산 인근에서 홍합과 해면, 서관충 등의 생물과 공생하며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한다. 심해의 열수가 분출되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생태계와 유사하지만,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장려하는 목적으로 1964년 설립됐습니다. 초기에는 연구 분야가 우주론 및 입자 물리학, 고에너지 분야에 국한됐지만, 최근에는 수학, 응집물질 및 통계물리학, 지구시스템물리학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2015년에는 생물물리학 분야도 생겼습니다. 연구소 내에는 고성능컴퓨팅(HPC) 장비 같은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긋는다, 공간에 건다!강 작가에게 선은 매우 활동적이고, 공간을 가득 채우는 에너지다. 그래서 한글 작업을 하지 않을 때도 선이 항상 주인공이다. 점, 선, 면으로 나타나는 추상적인 이미지를 구상하고, 텅 빈 공간에 그것을 구현한다. 교차하고 중첩하는 선을 통해 부피, 중력, 밀도와 움직임을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색소 성분이다. 30년 이상 연구가 이뤄져 왔으며, 인체의 지방 조직에서 열로 방출하는 에너지를 증가시켜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와 암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가 밝혀져 있다. 또 피부 미백과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판철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