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백야드월드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과학자는 10만 명으로, 이들이 발견한 천체는 1500개가 넘는다. doi: 10.3847/1538-4357/aba633 연구에 참여한 아마추어 천문학자 레슬리 햄릿은 “저자로 참여한 첫 번째 논문이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이미 임무를 마친 스피처 우주망원경과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데이터를 저장할 전혀 새로운 형태의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과거 기술의 재발견, 자기테이프 과거에 사용됐지만 현재는 주류에서 완전히 밀려난 구식 기술이 최근 새로운 저장기술로 다시 주목 받고 있다. 1990년대에 음악과 영상 기록 및 재생을 위해 사용한 자기테이프 저장장치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창문틀이나 방충망에 붙어있거나 집을 보수하려 천장을 뜯어냈다가 여러 마리의 박쥐를 발견한 경우도 있었다. 보통 깜짝 놀란 상태로 신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 집에 박쥐라니!박쥐는 원래 동굴이나 산림에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이다. 하지만 개발 때문에 점점 터전이 사라지자 도심지 ... ...
- [진실 혹은 거짓] ‘영’원한 비밀은 없다... 거짓 0의 진실을 찾아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에 대한 갖가지 주장을 펼치는 세 명의 기자가 있다. 왜 0이 일의 자리 수 중 가장 늦게 발견됐는지, 언제 어디서 0이 탄생했는지에 대해 저마다 흥미진진한 ‘썰’을 푸는데…. 이 중 한 명은 거짓을 말하고 있다. 과연 누굴까? 4000년 전엔 숫자 기호 ‘0’을 사용하지 않았어 숫자 ‘0’의 역할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억 때문에 수의사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어요. 한쪽 다리에 실이 묶인 비둘기를 발견했는데, 동네 동물병원의 수의사도 부상당한 다리를 치료하지 못했어요. 15살이던 마승애 수의사는 비둘기가 다리를 잃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지요.수의사로 일하며 가장 보람찼던 일을 묻자 마승애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을 확인했어요. 그동안 우리나라에도 운석이 충돌한 흔적이 몇 번 발견됐지만, 진짜 운석 충돌에 의한 것이라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연구팀은 적중-초계분지가 운석 충돌구라는 사실이 밝혀진 건 동아시아에선 2010년 발표된 중국의 슈엔 운석 충돌구에 ... ...
- [과학뉴스]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누설 위험성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물로 희석시켜 배출한다. 배출관리기준은 1L당 4만Bq이다. 한수원은 맨홀에 고인 물을 발견한 즉시 회수해 1L당 13Bq로 희석하고 배출했다고 밝혔다.하지만 월성원전 인근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들은 방사성 물질이 정해진 배출 경로가 아닌 지하로 장기간 누출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원전 부지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비교했다. 그 결과 극지연구원들의 해마 부피가 대조군에 비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마의 여러 세부 부위 중에서도 가장 큰 폭으로 크기가 줄어든 곳은 해마로 향하는 정보가 거치는 통로인 치상회(7.2%)였다. 회백질의 부피도 뇌 전체에 걸쳐 줄었는데, 왼쪽 해마곁이랑 부분 회백질이 3 ... ...
- 퍼시비어런스, 5번째 화성 탐사 로버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찾아냈다. 노스이스트 시르티스에서는 화산 활동 결과 유기물이 풍부하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마지막 후보지인 예제로 크레이터는 삼각주의 지형이 남아 있어 후보지로 채택됐다.2018년 11월, NASA는 퍼시비어런스의 최종 탐사 장소로 예제로 크레이터를 선정했다. 예제로는 슬라브어로 호수라는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궁금해요!어느 날 학원에 다녀오는 길 집 앞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일곱 마리를 발견했어요. 평소 다니는 길에서 자주 봤던 애벌레였는데, 추헌철 연구원님의 나비 강연을 듣고 나니 어떤 종의 애벌레인지 한번에 알아보겠더라고요! 곧바로 통에 담아 집으로 데려왔습니다. Q나비를 위해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