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식물분류학 수업이라 교실 밖으로 나가 나무들을 관찰하고, 이름을 찾아보고, 특징을 발견해 교수님과 같이 이야기 나눴어요. 억지로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기억하게 됐지요. 덕분에 식물과 사랑에 빠지게 됐답니다!” 개화 시기 탐사로 알아낸 것은?소지현 연구원은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식물 ... ...
- [이달의 과학사] 1943년 2월 20일, 파리쿠틴 화산 폭발! 그 출생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하느라 여념이 없었습니다. 오후 4시 즈음 옥수수밭에 도착한 그는 밭에 난 균열을 발견했어요. 곧 커다란 폭발음과 함께 회색 재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겁에 질린 풀리도는 말을 타고 마을로 도망쳤지요.풀리도가 목격한 것은 새로운 화산의 탄생 장면이었습니다. 멕시코 남부는 ... ...
- [한페이지 뉴스]2000년 전 ‘안티키테라 기계’로 재현한 행성의 움직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기계’는 2000여 년 전 그리스인들이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하기 위해 만든 장치다. 발견 이후 120여 년간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 기계 후면부가 일식과 월식을 예측했다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전면부의 움직임은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었다. 그런데 최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이 이 ...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기폭제 역할을 했다. 실제로 이후 중국 등에서 아슐리안 양식의 주먹도끼가 여럿 발견되면서 현재는 당시 인류가 유럽과 아시아 등을 가릴 것 없이 보편적인 적응 양상을 보였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배 전 관장은 서울대 대학원생 시절 전곡리 발굴 초창기 때 발굴 현장 책임자 및 행정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장애물을 지나갈 때, 마치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처럼 개미의 경로가 굴절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벨크로를 이용해 볼록렌즈, 오목렌즈, 평면렌즈 모양의 장애물을 만들었습니다. 그런 후 개미굴과 먹이 사이에 장애물을 두고 개미의 경로를 기록한 뒤, 각 경로의 분포와 밀집도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재료과학자 댄 셰흐트만 교수는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발견을 가능하게 한 펜로즈 타일링이지만, 정작 펜로즈 교수는 순전히 재미 삼아 펜로즈 타일링을 고안해냈다고 합니다.결국 펜로즈 교수가 수학을 즐기며 만들었던 아름다운 모양이 노벨 화학상에 ...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으로 확인된 31종 중 ‘로스트상어(Carcharhinus obsoletus)’는 1934년 마지막으로 기록된 후 발견되지 않았어요. IUCN은 로스트상어가 100년 이상 계속된 남획으로 멸종됐을 것으로 판단했지요. 멸종위기에 처한 건 동물만이 아니었어요. 참나무 430종의 평가 결과 113종이, 남반구에 사는 프로테아과 식물은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감당하기에 부빙의 두께는 충분치 않았다.당황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찾던 부빙을 발견해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전 지구 기후에 엄청나게 중요하고, 사람들이 사는 저위도의 기후 패턴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북극의 악화된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부빙 위에 올라선 우리는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위해 자신의 약점을 쉬이 드러내지 않는다.그래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중요하다. 발견자 중에서는 너구리의 흉한 몰골에 겁먹고 피하는 경우도 있다. 신고자가 직접 만지거나 구조해야만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다. 전문 구조기관에 알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피부가 여느 너구리와 다른,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교수 : 수학과 심리학은 생각보다 공통점이 많아요. 두 학문은 모두 현상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문제를 푸는 학문입니다. 수학은 수학 문제를, 심리학은 어떤 사람이 처한 인생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죠. 또 수학은 일종의 ‘도구 학문’의 성격이 있습니다. 수학자가 되지 않더라도 수학을 매개로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