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기체 이온화 작용을 연구하는 등 최초로 방사 화학의 초석을 다졌다. 1938년에는 독일의 과
학자
오토 한과 프리츠 슈트라스만이 우라늄235에 중성자를 때리면 바륨의 동위원소가 생기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나오는 핵분열 현상을 발견했다. 이 발견으로 우라늄은 원자력발전소의 연료와 원자폭탄의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핫스팟으로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 사실 남아공은 고인류학이 시작된 곳이다. 1924년 해부
학자
레이먼드 다트는 남아공에서 원시 인류인 ‘타웅 아이(Taung child)’를 발굴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Australopithecus africanus)’로 명명했다. 그러나 당시 유인원 화석이라며 인정받지 못했다. ... ...
호킹 “물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
2015.08.26
것이다. 이기명 고등과학원 교수는 “호킹이 발표한 내용은 이미 1990년대에 다른
학자
가 제시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새로운 결과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앞의 두 연구결과에 이 연구까지 합친 모르핀 생합성 경로를 효모에 도입하면 중간에 화
학자
가 개입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효모 한 균주가 포도당에서 모르핀을 만드는 게 가능해진다. 아래는 5월 21일자 기사의 일부분이다. “생명공학 덕분에 모르핀이 맥주양조만큼이나 쉽게 만들어질 날도 ...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
2015.08.18
구별해낸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실렸다. 영국 세인드앤드루스대의 진화심리
학자
리처드 바이른 교수는 아프리카 케냐 지방에 사는 야생코끼리들이 그 지역에 사는 마사이족 사람에게만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보고를 받았다. 물론 마사이족은 종종 코끼리를 사냥해 왔기 때문에 코끼리가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라거맥주의 효모들은 서로 뭉쳐 아래 가라앉는다(하면발효). 그러나 1870년 독일의 미생물
학자
막스 리스가 이미 하면발효 효모에 대해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라는 학명을 지었고 훗날 둘은 같은 종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칼스버겐시스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참고로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과학이냐’라는 양자택일 문화가 만연한 현실을 개탄했다. 로지 교수는 “신교도 과
학자
로서, 나의 믿음이 이런 근시안적 극단주의에 의해 왜곡된 상황을 보는 게 괴롭다”고 덧붙였다. 로즈 교수는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동의에 대한 교황의 존중이 과학과 신앙, 정책입안자 사이에서 좀 더 ... ...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무기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2015.07.29
일침을 가했다. 또 화
학자
와 생물
학자
들이 화학·생물 무기금지협약을 지지하고, 물리
학자
들이 핵무기와 레이저 무기 개발 금지를 지지하는 것처럼 AI 연구자들도 AI 무기 개발 금지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호킹 박사와 머스크 회장은 이번 서한 발표 이전에도 수차례 AI 무기 개발과 관련해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수학적 쿼크는 영원히 갇혀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그런 특성을 통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현실적 입자들을 만들어낸다. - 머리 겔만 필자는 책의 장르 가운데 전 ... 사쿠라이상을 단독수상했다. 1985년 제정된 사쿠라이상은 이론입자물리학에 공헌한 물리
학자
에게 주어진다.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를 생물적 질소고정, 즉 질소고정박테리아가 만든 것이다. 그리고 100여 년 전 독일의 화
학자
들이 개발한 암모니아합성법으로 매년 1억2000만t의 질소가 암모니아로 추가로 고정되고 있다. 이 과정에 인류가 쓰는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91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