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절망하지만 곧 정신을 차리고 다음 탐사일정(4년 뒤)까지 살아남을 방법을 고민한다. 식물
학자
인 마크는 전공을 살려 감자를 키우기로 했고 화학지식을 총동원해 농사에 필요한 물을 자체 생산한다. 농사가 잘 돼 희희낙락하지만 폭발사고로 감자밭이 날아가면서 시간과의 싸움이 시작된다.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청호소(靑蒿素)라고 불렀다. 바로 아르테미시닌이다. 중국 동진시대의 도
학자
이자 의약
학자
였던 갈홍. 투유유 교수는 갈홍이 남긴 문헌에서 개똥쑥 추출법의 영감을 얻어 아르테미시닌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일본의 문헌에 있는 갈홍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투 교수팀은 이 놀라운 ... ...
네가와트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1
협의 중이다. 미래의 DR은 어떤 모습일까. DR이 사물인터넷(IoT)과 만나면 미국의 경제
학자
제레미 리프킨의 말처럼 ‘제3의 산업혁명’을 일으킬지도 모른다.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처럼 분산돼 있는 기기 하나하나가 자체 통신 기능과 제어 가능한 센서를 갖춘다면, 신호를 받아서 스스로 전력을 ... ...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기체 이온화 작용을 연구하는 등 최초로 방사 화학의 초석을 다졌다. 1938년에는 독일의 과
학자
오토 한과 프리츠 슈트라스만이 우라늄235에 중성자를 때리면 바륨의 동위원소가 생기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나오는 핵분열 현상을 발견했다. 이 발견으로 우라늄은 원자력발전소의 연료와 원자폭탄의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핫스팟으로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 사실 남아공은 고인류학이 시작된 곳이다. 1924년 해부
학자
레이먼드 다트는 남아공에서 원시 인류인 ‘타웅 아이(Taung child)’를 발굴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Australopithecus africanus)’로 명명했다. 그러나 당시 유인원 화석이라며 인정받지 못했다. ... ...
호킹 “물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
2015.08.26
것이다. 이기명 고등과학원 교수는 “호킹이 발표한 내용은 이미 1990년대에 다른
학자
가 제시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새로운 결과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앞의 두 연구결과에 이 연구까지 합친 모르핀 생합성 경로를 효모에 도입하면 중간에 화
학자
가 개입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효모 한 균주가 포도당에서 모르핀을 만드는 게 가능해진다. 아래는 5월 21일자 기사의 일부분이다. “생명공학 덕분에 모르핀이 맥주양조만큼이나 쉽게 만들어질 날도 ...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
2015.08.18
구별해낸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실렸다. 영국 세인드앤드루스대의 진화심리
학자
리처드 바이른 교수는 아프리카 케냐 지방에 사는 야생코끼리들이 그 지역에 사는 마사이족 사람에게만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보고를 받았다. 물론 마사이족은 종종 코끼리를 사냥해 왔기 때문에 코끼리가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라거맥주의 효모들은 서로 뭉쳐 아래 가라앉는다(하면발효). 그러나 1870년 독일의 미생물
학자
막스 리스가 이미 하면발효 효모에 대해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라는 학명을 지었고 훗날 둘은 같은 종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칼스버겐시스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참고로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과학이냐’라는 양자택일 문화가 만연한 현실을 개탄했다. 로지 교수는 “신교도 과
학자
로서, 나의 믿음이 이런 근시안적 극단주의에 의해 왜곡된 상황을 보는 게 괴롭다”고 덧붙였다. 로즈 교수는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동의에 대한 교황의 존중이 과학과 신앙, 정책입안자 사이에서 좀 더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