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스페셜
"
미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날지는
미
지수다. 그럼에도 조만간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될 것이다(어쩌면 이
미
실시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기적의 다이어트약이라며 기대를 모았던 숱한 후보 물질들이 임상에서 실패해 빛을 보지 못했다. 너무 흔한 물질이라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숙신산이 ‘흙 속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소의 비밀스러운 삶’에 나오는 소들의 다채로운 모습이 그런 예가 아닐까. 이 책 말
미
에서 저자는 엄격한 동물복지시스템 도입이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다. “소비자가 100% 풀만 먹고 자란 방목 유기농 동물복지 육우를 적극적으로 선택한다면, 동물을 기르는 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12~16).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인 후편모류(Opisthokonta)가 변곡점임을 주목하라. - ‘
미
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래프를 보면 3단계는 증가에서 감소로 가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깃편모충류와 동물류의 공동조상으로 아직 단세포생물이면서도 다세포성에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까지 느낄 수 있는 의수를 개발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존스홉킨스의대가 주축이 된
미
국과 싱가포르 공동연구자들은 남아있는 팔의 근육이 만들어내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 14가지 동작을 할 수 있는 의수(상품명 bebionic prosthetic hand)에 실제 피부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전자피부(e-dermis)를 씌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읽어보려고 했지만 너무 지루해서 구토가 날 정도였다.
미
술과 음악에 대한 취
미
도 완전히 잃어버렸다. … 내 정신은 온갖 사실을 다 모아놓은 것에서 일반 법칙을 이끌어 내는 일종의 기계가 된 듯하다. … 인생을 다시 살 수 있다면 적어도 매주 한 번은 시와 음악을 즐기는 규칙을 세울 것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환산하면 1190cc 내외다. 노화로 뇌가 약간 줄어들 수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남성 평균에 못
미
치는 크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
미
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열린다니 한번 찾아가 봐야겠다. 이번 글을 준비하며 얻은 장
미
품종에 대한 지식이 장
미
를 감상하는데 꽤 도움이 될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9
화성-14호를 발사한데 이어 9월에는 6차 핵실험을 진행했던 북한인데요. 남북 그리고
미
북간 관계가 최고로 악화됐던 이때 진행된 산림 관련 아시아태평양 회의에도 담당자를 보낸 바 있습니다. 김 박사는 “(비공개로 진행됐지만) 2015년 북한이 금강산 소나무들이 병에 걸렸다고 도움을 요청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그는 공감각과 관련된 아버지와의 일화를 몇 가지 얘기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특히 흥
미
롭다. 확실히 나보코프는 과학자로서 기본이 돼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감각 소유자의 색 연결은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경우 이에 대해 상당한 정도로 엄격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널리 퍼뜨리게 돈을 댄 것”이라고 썼다. 제당업계가 지난 반세기 동안 영양학계를 풍
미
한 ‘저지방 식단’ 패러다임을 기획한 게 아니라 편승한 것이라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