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위
활동
행실
실행
동작
소행
태도
뉴스
"
행동
"(으)로 총 3,74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좌절과 실망이 습관인 사람에게
2021.07.10
이런 허상이 어긋났다고 큰일 난 것처럼 실망하고 좌절하는 것 역시 불필요한
행동
인 것이다. 잘 하는 게 당연하기는 커녕 내가 종종 삽질하고 실패하는 것이 더 당연하다. 충분히 있을 수 있는 매일매일의 삽질에 실망하는 나는 사실 꽤 오만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 ...
[표지로 읽는 과학]빅데이터를 통한 사회과학 연구, '힘과 위험' 공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활용하거나 스마트폰을 들고 걸어다니기만 해도 수많은
행동
정보가 쌓인다. 과거에는 이런 데이터를 활용할 수 없었지만 계산과학 기술이 발달하며 이제는 빅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됐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회과학 분석은 주요한 이슈에도 빠르게 ... ...
거리두기 죄는데 9일,풀리는데 고작 3일…정부 2주 미루라는 전문가들 경고 무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시간이 걸렸다. 거리두기 완화에 대한 반응은 일주일도 채 되기 전에 이미 사람들의
행동
에 반영되지만 업종별 방역수칙과 같은 새 방역원칙이 확산 방지에 적용되는데는 9~12일 정도 걸렸다 ... ...
코로나 델타 변이 1명이 7명 감염 기본…누구나 슈퍼전파자 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9가 인플루엔자처럼 엔데믹이 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도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미래
행동
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이유가 크다. 델타 변이 출현처럼 코로나19는 생존을 위해 계속 돌연변이를 일으킬 것이고, 이에 따라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완전한 종식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 ...
"자연이 그동안 인류 지켰으니 이제는 우리가 자연을 지킬 차례"
과학동아
l
2021.07.05
이뤄졌다. 탄소중립 영상공모전은 ‘평상시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있는 자신만의 기후
행동
’ 또는 ‘탄소중립을 알리기 위한 캐메인 광고 영상’을 주제로 영상을 제작해 발표하는 대회였다. 탄소중립을 랩으로 표현해 대상을 수상한 황유찬(서울 도곡중 2학년) 군은 “그동안 자연이 우리를 ... ...
델타 변이 확산 중인데 마스크 의무화 해제?…영국 과학자들 “변이 공장 짓는 것”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정부가 개인의 책임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데 사람들이 책임감 있게
행동
하려면 안전한
행동
을 가능케 하는 정부의 책임이 필요하다”며 “두려운 것은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진 것도 아니고 재확산을 막는 데 필요한 방법들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도 아니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신규 ... ...
거리 이름에는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 담겨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개방적인지 파악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사람은 자신이 소속한 사회 가치에 따라
행동
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주로 경험과 직관적 통찰을 통해서만 이를 파악했다”며 “새 방법을 통해 도시 곳곳에 거리명을 살펴보면 도시의 문화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서구 사회에 ... ...
미 독립기념일 연휴 델타변이 확산 우려…'2개의 미국' 갈림길
연합뉴스
l
2021.07.04
코로나 확산의 이벤트가 될까 봐 걱정"이라며 "마스크 없이 식사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행동
은 델타 변이를 퍼트리는 배양 접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목표하는 순간 더 멀어지는 것들
2021.07.03
가까워지고 있다면 좋지만 멀어지고 있다면 ‘뭔가 잘못되어가고 있음’을 느끼고
행동
을 계속해서 수정하는 과정이다. 흔히 이런 과정을 반복해서 최적의 길을 찾아내고 목표달성률을 높인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인 목표들, 예컨대 1만 보 걷기, 일을 어디까지 끝내기, 몇 시까지 어디로 가기처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부실학회, 장롱특허 그리고 출연연
2021.07.01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
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