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몸에는 사람 뇌 같은 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비롯해, 팔과 다리, 손가락 등 각 부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컴퓨터가 많이 들어가. 또 로봇이 사람처럼 움직이고, 보고, 들으려면 수많은 센서가 필요해. 사람의 피부와 눈, 코, 귀에 분포한 각종 감각세포가 정보를 수집하듯 로봇도 온몸에 부착된 센서로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축을 회전시키면 나사 모양으로 된 홈을 따라 물이 올라옵니다. 오늘날에도 하수와 홍수 조절에 널리 쓰이고 있지요.이 밖에도 지레와 도르레, 바퀴와 축, 경사면 등 40개가 넘는 발명품을 만들었습니다. 이만 하면 공로상 탈 만하죠?수학적인 안목을 갖춘 화가이자 발명가레오나르도 다빈치(1452.4~151 ...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바닷가재 통발을 놓는 규칙과 순서 등에 대한 자치 규율을 만들어 바닷가재 잡는 양을 조절했다. 이 결과 다른 지역이 남획으로 바닷가재가 완전히 사라졌을 때, 이 곳만은 어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게임이론에선 경제활동에서 일어나는 경쟁과 협력, 그리고 배신을 수학적으로 보여 준다. 사람의 ...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위한 우리 몸의 방어기작으로 뇌가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양을 늘려 장운동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장내미생물이 뇌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셈이다.◀ 불안증세와 우울증을 완화시켜주는 락토바실러스람노서스.그렇다면 뇌는 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어떻게 알았을까. 메신저의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재빨리 계산한다.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ATPT 장치가 해중터널의 각 지점에 있는 앵커링을 조절한다.힘을 받는 방향과 시간을 계산해 정확히 반대 방향의 추진력을 발생시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또 텐션렉 중간이나 앵커링 부분에 외부 힘을 천천히 전달하는 진동 흡수 장치(댐퍼)를 설치한다. ...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작용한다. 따라서 아토피나 염증성장질환 같은 과민 면역반응으로 인한 염증 부위에 조절T세포가 작용하면 염증반응이 억제되면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몸은 왜 스스로 균형 있는 면역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장내미생물의 힘을 빌리는 걸까.위생가설 입증하는 실험 속속 발표돼1989년 ...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정체도 밝혀냈다고 밝혔다.노리스 교수는 초거대망원경에 수직과 수평으로 편광을 조절할 수 있는 간섭측정기를 설치했다. 그 뒤 180광년 떨어진 황새치자리 R별, 370광년 떨어진 사자자리 R별(사진), 375광년 떨어진 바다뱀자리 W별의 대기를 관찰해 편광을 분석했다. 비교를 위해 강한 항성풍이 없는 ... ...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더 멀리 날리려면?섭섭박사 : 정환아 어때? 뭔가 좀 알 것 같니?정환 : 음, 무게 조절 링 간격에 따라 날아가는 거리가 달라졌어요. 간격이 좁을 때 더 멀리 날아갔는데, 이유는 아직 잘 모르겠어요. 정환 : 섭섭박사님, 진짜 이걸 타고 여행가실 거예요?섭섭박사 : 후후, 여행은 포기했어! 대신 모스 ... ...
- 뉴로피드백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화면을 바라보면서 스스로 집중력이 높아지거나 마음이 편안해지는 뇌 상태로 조절만 하면 된다.앞으로 이런 종류의 휴대용 뉴로피드백 장치가 더 대중화된다면, 신경학습이나 뇌학습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학습 방법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교실에 앉아 있는 학생들은 무선 뇌파 헤드셋을 ... ...
- 100배 더 정확한 핵 시계 등장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추로 사용한다. 연구진은 레이저를 이용해 전자가 도는 방향을 매우 특수한 방법으로 조절했다. 이를 통해 원자핵 주위를 회전하는 중성자를 시계 추로 사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원자시계가 아닌 이른바 ‘원자핵 시계’의 탄생이다. 중성자가 전자보다 원자핵에 가깝게 연결돼있기 때문에 외부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