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전문가들은 적어도 10년 안에 컴퓨터가 전문 번역가 수준이 될 거라 예측한다. 그러면 교실 풍경부터 변할 것이다. 이창기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독해와 문 ... .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150세’ 기록을 세울 것이라고 보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물을 사용하고 있어요. 이 때문에 물 소비와 오염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지요. 지구의 미래는 물에 달렸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랍니다. 오늘부터라도 물 절약에 대해 조금만 더 신경 써 보면 어떨까요? # 파부르는 시원이와 오로라가 끓여 준 코코아를 마시자 가슴이 따뜻해지는 걸 느낄 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단순히 호기심이나 흥미만 노리지 않는다. 눈치 빠른 독자라면 과거 문명이 두 사람을 미래로 보낸 이야기의 전말을 통해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경고를 쉽게 간파할 수 있다. 바르자벨이 평생 몰두했던 전쟁의 공포나 사랑의 불멸성 같은 주제 의식이 집약적으로 담겼다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일을 못할 때도 있지만 적절한 예를 찾으려고 노력한답니다.어떤 수학자가 되고 싶나요?미래에는 대학원에서 저를 가르쳐주신 지도교수님인 세르규 클라이너만(Sergiu Klainerman)처럼 되고 싶어요. 제가 무척 존경하거든요. 교수님은 1980년대에 벡터장을 이용해 비선형 쌍곡 방정식을 이해하는 연구를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것이라 확신하기 때문이다. 서정선 소장은 “현재의 의학은 경험에 의존하고 있지만, 미래는 정보 의학, 정밀 의학의 시대가 될 것”이라며 “자신의 유전자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질병에 걸릴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천식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것을 미리 알고있으면, ... ...
- [교과연계수업] 텔로이머로 알아보는 장수 동물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 인간의 수명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늘어났는지 알 수 있다. ▶ 인간의 미래 수명이 150세라고 예측하는 과학 연구를 소개하고, 세포 수명을 알려주는 텔로미어의 뜻을 설명한다. ▶ 동물 중 오래 사는 동물의 종류와 장수 동물의 비결을 소개한다. ▶ 장수 동물 중 하나인 ...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속도가 점점 빨라져 노화가 더욱 눈에 띄는 거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식습관 등 건강한 생활 습관에 있다는 사실, 잊지 마!▼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콘크리트’ 연구(UNIST 오재은 교수)는 건설 공학이 최근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어떤 미래를 상상하고 있는지 알게 해줍니다.영감 어린 인터뷰 한 대목에 눈이 갔습니다. “야근 없는 연구실, 최고의 효율성을 향해서!”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한계에 달했다는 신호가 사회 여기저기에서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