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어떻게 아냐고? 지금부터 내가 그 비밀을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심이 낮거나 높은 지역에서 모두 발견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할 때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해 결국 죽게 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노레이저 빛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며 “미래 광학컴퓨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장종산 한국화학연구원 CCP융합연구단 연구원은 “이 소재로 미래형 질소 흡착 물질을 만들면 에너지를 생산하고 순수한 산소를 제조할 때 비용절감과 효율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문학자, 법학자, 공학자가 모여 인간과 로봇, 인공지능이 공존할 미래사회에 대해 논의한다. 설립 후 1년간 토론한 내용을 모아 지난해 11월에는 ‘포스트휴먼시대의 휴먼’이라는 책도 발간했다. ‘포스트휴먼법의 체계와 이슈’,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생명·신체의 안전보호를 위한 공법의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교수팀이 리워크 팀 등에 이어 동메달을 차지하기도 했다.Bionic Leg다리와 관련한 또다른 미래 기술은 의족이다. 의족의 역사는 3000~4000년 됐지만, 최근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무게가 가벼워졌다는 것이다. 재료공학의 발달로,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탄소섬유나 티타늄을 쓸 수 있게 됐다.그래파이트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난해 12월 말 ‘사이언스’는 2016년 최고의 과학 사진 10장을 뽑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미국 플로리다국제대에 설치된 대형 송풍장치 와우는 그 중 하나였다. 송풍기 날개 길이가 사람의 키보다 큰 이 거대한 장치는 이른바 ‘재난 기계(Disaster Machine)’ 중 하나다. 재난 기계는 허리케인이나 지진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많다. 미국 에너지국(DOE)에서는 이 연구를 미래 연소 기술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 박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의 발전소에서는 에너지 생산 기술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며 “연구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에너지 기술의 국산화를 이룰 수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용한 고로 슬래그 결합재가 백시멘트처럼 하얀색인데다 매우 값싸기 때문이다. ‘미래과학기술지주’ 사에서 사업성이 높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투자도 받았다. 이 회사는 국내 4대 과학기술 특성화대(KAIST, UNIST, GIST, DGIST)가 기술을 이전한 업체를 지원하고 있다. 오 교수는 “단순한 기술 이전을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