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만든 수학자 정도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무리수 2.718…이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은 모르는 것 같아요. 순서로 보자면 ‘오일러 수’가 아니라 ‘네이피어 수’라고 불러야 하는 거 아닌가요?수학을 연구하다 보면 소수점 아래 수가 길고 복잡한 수를 계산하는 경우가 있어요.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무척 안심한 듯 유미가 기뻐할 거라고 했다. 그 말대로 유미는 무척 신이 난 표정으로 등장했다.“늘 따로따로 오더니만, 생일이라고 간만에 다 같이 왔네.”“너 좋아하던 그 제과점에서 특별히 주문해서 만든 거야, 이 케이크.”“오. 짱이네. 근데 못 먹어.”가볍게 웃음이 터졌다.“선물 받는 ... ...
- [도전! 코드마스터]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미래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특이점이 온 순간 사람을 위협하거나 죽이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수도 있다고 이야기하지요. 영화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T-1000처럼요. 정말 그럴까요?우선 짚어 봐야 할 문제가 있어요. 특이점은 ‘인공지능이 사람처럼 생각한다’는 내용을 바탕으로 해요. 과연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영상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많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디지털 홀로그래피기술이 등장했다”고 말했다. 홀로그램의 진화형, 디지털 홀로그래피디지털 홀로그래피는 필름 대신 CCD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정보를 공간광변조기(SLM, 아래 사진)로 재생하는 기술이다. 기록된 간섭패턴이 그대로 ... ...
- 마음의 소리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아버지 조철왕과 똑같이 생긴 연변 조직 두목을 아버지로 착각한 것이다. 도플갱어가 등장해 벌어진 일이다. 그런데 현실에도 나와 똑같이 생긴 도플갱어가 있을까?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과정 학생인 테컨루카스는 환자 4000명의 데이터를 표본 분석해 도플갱어가 있을 확률을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알루미늄합금과 탄소소재를 이용해서 무게는 1.6t에 불과하다. 한국미래기술이 혜성처럼 등장해 거대 2족 보행 로봇을 만들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가 있다. 휴보를 개발한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출신 연구진이 개발에 참여했기 때문이다.메소드-2의 소식은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언플러그드 수업만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얼마 뒤 교실에는 오조봇과 햄스터 로봇이 등장했다. 물론 다른 학교에서 흔히 하는 코딩 활동은 아니었다. 이전 수업처럼 윤 교사는 특수학생에 맞는 방식으로 SW 수업을 했다.“오른쪽에 있는 집으로 가야 하는데, 교차로가 있으면 어떻게 할까요?”윤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실제 연구 현장에서 세계의 연구 트렌드를 따라잡고 있는 눈 밝은 젊은 연구자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연구 주제도 대단히 세련되고 미래지향적입니다. 지난 1월호의 ‘복원력 강한 도시 구조’ 연구나(서울대 송준호 교수), 이번 호의 ‘시멘트 없는 콘크리트’ 연구(UNIST 오재은 교수)는 건설 공학이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언젠가는 스마트폰처럼 간편하게 들고 다니면서 냄새를 마음대로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등장할 날이올 것이다.▶Delete: 냄새로 냄새 잡는 ‘스멜캔슬링’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의 탈리바이스 박사팀은 지금껏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냄새를 발견해 2012년 12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上 거인신이 남긴 선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들어있다는 뜻)다. 하지만 티타늄은 광물에서 추출하기가 어려워 비교적 최근 인류사에 등장했다. 1964년 룩셈부르크의 금속학자 월리엄 크롤이 새로운 제련법을 발명한 뒤에야 비로소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게 됐다.과학자와 공학자들은 기다렸다는 듯 의학과 항공우주 등 다방면에 티타늄을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