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왜 그때는 몰라줬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정도였으니까요.사실 계속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하는 무한은 이전부터 수학책에 자주 등장했어요. 제가한 일은 단지 ‘무한은 이거야!’라고 똑 부러지게 ‘정의’한 것뿐이에요. 전에는 무한을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몇몇 수학자들이 ‘분모가 작아지면 분수의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기자가 직접 고리 원자력발전소에 가본 결과 피카츄는 없었다. 사람이 뜸하면 포켓몬 등장 확률 자체가 낮다. 특히 피카츄와 같은 희귀 포켓몬은 지리 속성만으로는 찾기 힘들다.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마침내 피카츄를 발견했다. 이곳은 2월초 피카츄가 많이 나왔던 보라매 공원이다. 이제 기자가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만든 수학자 정도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무리수 2.718…이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은 모르는 것 같아요. 순서로 보자면 ‘오일러 수’가 아니라 ‘네이피어 수’라고 불러야 하는 거 아닌가요?수학을 연구하다 보면 소수점 아래 수가 길고 복잡한 수를 계산하는 경우가 있어요.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무척 안심한 듯 유미가 기뻐할 거라고 했다. 그 말대로 유미는 무척 신이 난 표정으로 등장했다.“늘 따로따로 오더니만, 생일이라고 간만에 다 같이 왔네.”“너 좋아하던 그 제과점에서 특별히 주문해서 만든 거야, 이 케이크.”“오. 짱이네. 근데 못 먹어.”가볍게 웃음이 터졌다.“선물 받는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UC버클리 레온 추아 교수가 발표한 논문 “멤리스터-잃어버린 회로소자”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이 논문은 2017년 2월 현재 무려 3402회나 인용됐다). 전자회로의 수동소자 (증폭ㆍ전기에너지 변환 등 능동적 기능 없이 에너지를 소비, 축적, 통과시키는 소자)는 저항(R), 커패시터(C), 인덕터(L) 세 ... ...
- 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빙하기에는 털매머드뿐만 아니라 유난히 몸집이 크고 털이 긴 대형 초식동물들이 많이 등장했어요. 이 시기의 동물군을 ‘거대 동물군’이라 부를 정도지요. 바로 빙하기의 환경 때문이랍니다.빙하기는 지구상의 물이 얼어붙는 시기이기 때문에 바다의 표면인 ‘해수면’ 높이가 내려가고, 얕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있었지요. 그러던 2016년 봄 ‘스타인버그의 추측이 틀렸다’는 내용의 논문이 인터넷에 등장해 수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관여하는 이 힘을 ‘조석력’이라 한다.조석력, 혜성을 소환하다조석력 개념이 처음 등장한 건 17세기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턴의 저서 ‘프린키피아’에서다. 이 힘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을 일컫는 조석 현상을 설명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조석력’이라 불렀다. 조석력은 바다만이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사각형 연못에 있는 천적과 마주치치 않게 길을 찾아 가면 돼요. 연못의 개수와 등장하는 동물 조합을 달리해 다양한 난이도의 스테이지를 디자인할 수 있어요. 이처럼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을 관찰해 게임규칙을 만들고 나만의 이야기를 입혀 새로운 게임을 만들 수 있어요.이번 호에서는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같은 간단한 결정 구조만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빠르게 연산할 수 있는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복잡한 구조도 볼 수 있게 됐다.푸리에 변환★ 프랑스의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가 만든 수학적 기법으로 시간에 대한 함수를 파장이 다른 여러 함수의 합으로 표현하거나 다시 원래대로 구하는 방법이다.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