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COP26 첫 숙제 검사의 점수는? 낙제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미래를 향해 가고 있다고 지적했지요. 인터뷰이준이(부산대학교 기후과학연구소 교수)COP26에 과학자로 참가했어요! 저는 IPCC 보고서를 작성한 과학자로서, 그 내용을 설명하는 게 임무였어요. 이 과정에서 만난 청소년들이 “기후위기 대응에 지금까지 실패해왔는데 여전히 목표만 ... ...
- [만화 뉴스] 건물이 스스로 회복한다고? 살아있는 3D 프린터 잉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11월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닐 조시 교수팀은 대장균이 만든 단백질로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미생물 잉크’를 만들어 공개했어요. 연구팀은 우선 대장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 혈액을 굳게 하는 ‘피브린’ 단백질을 분비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후, 피브린 단백질만 추출하여 젤라틴 형태를 한 ... ...
- [가상 인터뷰] 이젠 복제도 내 맘대로, 자기복제 로봇 ‘제노봇’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복제 능력은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까요?연구를 이끈 버몬트대학교의 조슈아 본가드 교수는 “제노봇의 자기복제 과정을 분석하면 지구에서 생명체가 처음 탄생한 과정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제노봇의 자기복제 소식을 접한 과학자들은 생명공학과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학교 교수는 2018년에 이어 또다시 유력한 필즈상 후보로 꼽히는 수학자 중 한 명입니다. 2016 ... 수상 소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미 이룬 성과만으로도 자랑스러운 한국계 수학자 허 교수가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7월 6일이 기다려집니다 ... ...
- [매스미디어] Formula of Love : O + T = < 3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오른쪽 아래에 있을 때만 사용해야 하니 주의하세요! 삼각비로 거리를 안다는 김 교수의 말처럼 삼각비와 직각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이용해서 다른 변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가 2, sinA가 1/2이라고 해 봅시다. sinA=높이/빗변이기 때문에 양변에 빗변을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미래 예측하기 인공지능(AI)은 어떻게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할까요? 마치 마법처럼 보이지만 그 기본에는 간단한 두 가지 수학 원리가 숨어있습니다. 첫 번째 원리는 ‘대수의 법칙’입니다. n개의 사건이 있을 때 A의 성질이 r번 일어나면 A가 일어날 비율은 r/n입니다. 그런데 이때 ... ...
-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놀이북 4쪽, 23쪽과 함께 보세요! “5, 4, 3, 2, 1!”‘펑! 팡팡! 삐요유우우우우~.’으악, 이게 무슨 소리야! 내 ‘반짝 귀’ 떨어지는 줄 알았네지구에서 나는 소리였구나. 설마 나를 보고 기뻐하는 거? ‘지구말 통역기’를 켜고 뭐라고 환호하는지 들어봐야지~!“와아~, 여러분 드디어 2022년 새해가 ... ...
- 날짜가 정답 되는 달력이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매년 수학달력을 제작 하고 있어요. 수학 퍼즐 전문가인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가 2014년 우리나라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를 기념해 처음 수학달력을 만들었어요. 당시 뜨거운 인기를 얻어 매해 만들기로 했지요. 수학달력은 겉으로 봤을 땐 평범한 달력과 비슷해 보이지만, ...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다양성을 확보하는 문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대 공대의 교수 318명 가운데 여성 교원은 17명이다. 5.3% 수준으로 아직 낮지만 최근 두 명이 추가되는 등 계속해서 수를 늘리고 있다. 이 학장은 “여성 교원은 공대 외에 서울대 본부 차원에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 ...
- [과학뉴스] ‘블랙 위도우’의 치명적인 독 구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유입되고, 그 결과 막대한 양의 신경전달물질이 나와 몸이 마비된다. 가트소지아니스 교수는 “라트로톡신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어떤 신경독과도 구분되는 특성을 지녀 연구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