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미래세대 위한 계획 세웠니? 첫 기후 숙제 검사 COP26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첫 숙제 검사가 열렸습니다. 바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지요. 숙제를 해야 하는 주인공들은 전 세계 197개국 정상들이었습니다. 세계 정상님들, 어린이가 살 만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온실기체 감축 숙제 제대로 하고 있나요? ▼ ... ...
- [4컷 만화] 차로 밟아도 끄떡없다? 단단한 젤리 ‘슈퍼 젤리’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11월 25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오렌 셔먼 교수팀은 평소엔 젤리처럼 말랑말랑하다가도 누르면 금속처럼 단단해지는 ‘슈퍼 젤리(SPN)’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슈퍼 젤리는 물이 성분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하이드로겔’에 속합니다. 하이드로겔은 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분자 혼합물로 ... ...
- [수학뉴스] 우주의 정보량을 알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돼요. 이 방법으로 우주 전체 입자의 정보량이 약6 × 1080비트라고 예측했어요. 봅슨 교수는 “이 값이 정확한 우주 전체의 정보량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50년 동안 많은 수학자, 과학자가 도전했던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식을 찾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어요.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 세계적인 수학자 故 김범식 교수님을 그리며…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와 있었다. 또 2004년에 미국 생활을 청산하고 고등과학원에 교수로 왔더니, 거기에 또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인연은 인연이구나’ 했다. 이렇듯 놀라운 만남 사이에 그는 젊은 과학자상,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한국과학상, 등 국내에서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상을 싹쓸이하고 최연소 국가 ... ...
- [기획]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의 등장! 2022년에 코로나19 종식될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2019년 말부터 시작해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코로나19! 2021년 8~9월까지만 해도 전문가들은 2022년이 코로나19 시대를 판가름 짓는 시기가 될 거로 전망했어요. 하지만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이 발생하며 코로나19의 방향은 불투명해졌습니다. 과연 2022년에 코로나19는 어떻게 될까 ... ...
- [이달의 필수경제] NFT라면 내 사진으로도 떼돈을?과학동아 l2022년 01호
- CRISPR-Cas9) 유전자 편집기술 연구로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 UC버클리 교수의 유전자 편집 기술 발명 관련 문서도 경매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마이크 코헨 UC버클리 이사는 “연구의 인지도를 높이고 연구자들의 연구 자금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과학뉴스] 수능 생명과학Ⅱ 출제 오류, ‘진실을 외면해야’ 답을 낼 수 있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11일 트위터에 문제에 관한 해설을 공유하며 오류를 지적했다. 해설을 작성한 프리처드 교수팀의 매튜 아기레 연구원은 “문제가 지나치게 어려울 뿐 아니라 푸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답을 낼 수는 있겠지만 그러려면 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해야 한다”고 말했다.김소연 ...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없애고 식감까지 높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최재석 신라대 바이오식품공학과 교수팀은 지난해 5월 냉동 고등어를 이용해 해동-찜(증숙)-냉동 과정을 거쳐 HMR 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을 국제학술지 ‘푸즈(Foods)’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해동, 증숙, 냉동 조건을 달리 조합해가며 최적의 ... ...
-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호모 사피엔스는 여러 조상 집단의 다양한 ‘섞임’의 결과로 탄생했다. 책에서 이 교수는 수십만 년 동안 이어져 온 다양성의 후손이 바로 우리임을 강조한다. 인간다움을 추적하는 과거로의 여정을 통해 현재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인간다움의 특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자 ... ...
- [비룡소 X 어린이과학동아 장이권 교수의 탐험 일지] ‘바다의 방랑자’가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실시간 댓글창에 “엘라야, 잘 살아”라며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답니다. 이외에도 장 교수님은 전남 구례 지리산과 경북 김천 수도산 사이의 100km가 넘는 거리를 홀로 여행한 ‘콜럼버스 반달가슴곰’ 오삼이 이야기를 들려줬어요. 깜짝 화상 연결을 통해 베트남에서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화를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