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3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의학이 과학이라고? 의학은 생물체(사람)를 대상으로 하므로
물리
나 화학법칙과 다르게 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한다는 이야기는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라는 글에서 이미 이야기했다. 의학이 과학적 법칙에 좌우되는 과학의 한 분야라면 ... ...
물만으로 전기 만드는 '수분 자가 발전'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수분 자가 발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유동·확산·반응·정전기 등 4종의
물리
현상으로 설명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작해 확인했다. 그 결과 수분 자가 발전에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핵심 원리가 통념과는 다르게 탄소 표면에서 물과 화학반응을 통한 이온 생성과 수소이온(H3O+)이 ... ...
‘1000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권오훈 교수는 “누구나 아는 일반적인
물리
학 지식을 토대로 펨토초 이미징 기법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첨단 이미징 분야 최초의 연구”라며 “이산화바나듐의 초고속 상변화 현상을 처음으로 실시간 촬영함으로써 물성 제어에 대한 이해도와 소재로의 ... ...
[주말N수학]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1.28
검증 및 분석 그룹에 속해 있어요. 연구실에서는 주로 코딩을 하거나 소행성 충돌과 같은
물리
적 사건의 모의실험을 진행해요. 또 지하 핵실험 같은 폭발이나 이로 인해 형성되는 분화구들을 연구합니다. 학생들을 지도하고 프로젝트를 함께하기도 하지요." Q. 대학원 때 소행성 이외에도 약물 ... ...
[프리미엄 리포트]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01.28
그래핀을 오려 0차원 풀러렌을 만들 수 있죠. 물질을 나노 크기로 만들면 새로운
물리
화학적 특성이 나타납니다. 나노 물질로 만든다는 건 표면적을 늘리는 일입니다. 나노 물질 표면적은 벌크에 비해 1000만 배 이상 늘어납니다. 이때 기존의 원자 결합이 끊어지며 구조나 활성이 달라져 새로운 ... ...
'앤트맨' 구현?…미시세계 속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끊임없이 충돌하기 때문에 준입자가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 준입자는 양자
물리
학에서만 관측되거나 이용되는 개념이었다. 박 연구위원팀은 우리 눈에 보이는 물질에서 입자들이 짝을 지어 움직이는 현상을 실험을 통해 발견했다. 연구팀은 아주 얇은 두께의 미세유체 채널에서 ... ...
독자개발 전자가속기 허가…암 방사선치료기 국산화 앞당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의학
물리
연구팀장이 직접 개발한 9MeV(메가전자볼트)급 전자가속기를 시연하고 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제공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독자 개발한 전자가속기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사용허가 승인을 받았다. 암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전자가속기를 가동해 성능을 시험하고 ... ...
제2의 스페이스X 탄생 조짐...로켓랩, 美서 첫 로켓 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130회에 달하는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
물리
학센터(CfA)에 따르면 지난해 한해 동안 이뤄진 우주 발사체 발사가 186회인 점을 감안할 때 70% 수준에 이르는 숫자다. 로켓랩은 우주발사체를 공중에서 낚아채 회수하는 시험도 진행 중이다. 발사 후 바다로 ... ...
모래사장도 거침없다...KAIST 연구진,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수행하는 기계를 만드는 학습 방법이다. 이때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많아 실제 환경의
물리
현상을 근사하는 시뮬레이션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모으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지면을 강체로 간주한 제어기와의 비교를 통해 학습 간 적합한 접촉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로봇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활용한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다. 생물로 넘어오면 이야기가 많이 달라진다.
물리
·화학 특성이 비슷한 같은 족 원소라도 생물에서 기능이 전혀 달라 대신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생물에서 유용한 원소 위아래에 있는 원소가 기능이 없거나 심지어 독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리튬이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