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파랑 색깔의 수중 동굴로 들어가야 한다.네 번째 문제의 답세 번째 망치의 수염 모양이
잘못
되어 있다. 정답은 세번째 망치 아래의 3번 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찾아낸 어둥굴차자스키우여곡절 끝에 살아남은 썰렁 홈즈. 그런데 어떻게 된 일? 마지막 동굴을 통과하고 나니 화려한 건물이 하나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근거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세기 초에 나온 이 이론은 19세기 말의 한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한 결과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별 생각 없이 이 이론을 ‘진실’로 받아들여 엄밀한 검증 없이 계속 인용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수년 전 미각의 메커니즘을 밝힌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구하기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1985년 플라스틱자전거는 생산이 완전히 중단됐다.무엇이
잘못
됐던 것일까. 우선 자전거 시장이 포화상태였다. 자동차회사인 볼보에서 소형자동차를 개발하다가 플라스틱자전거 개발로 방향을 바꾼 라스 사무엘슨과 얀 올손은 1973년 오일쇼크 이후 스웨덴에 자전거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말아톤’은 초원이 그림일기의 ‘내일 해야할 일’에 ‘마라톤’을 ‘말아톤’이라고
잘못
쓴데서 나왔다.장면 1“초원아, 거울을 보고 엄마처럼 해봐.”엄마는 아들 초원이 웃는 표정을 짓게 만들려고 거울을 앞에 놓고 열심히 가르친다. 그러나 초원이는 엄마가 원하는게 뭔지 모르는 듯,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게 된 계기를 물었더니 대뜸 나온 대답이다. 그는 “많은 대학 교수들이 돈 버는 것은
잘못
된 일이고 대학 교수는 선비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공학은 근본적으로 개념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KAIST 러플린 총장의 ‘사립대 구상’도 대학졸업생이 시장의 요구에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순화하려고 넣는 당근이 비타민C(아스코르빈산)를 파괴한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잘못
된 상식. 실제로 당근은 비타민C 파괴와 상관이 없다. 녹즙의 비타민C가 당근과 만나면 디하이드로아스코르빈산으로 바뀌지만 섭취 후 장내에서 다시 아스코르빈산으로 바뀌기 때문이다.코호트 연구 | 특정한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태평양에서 다섯차례 발생한 대형 쓰나미 모두에 대해 경보를 발동했다. 그러나 15회는
잘못
된 경보를 내리기도 했다. 아무튼 태평양에는 해수면 파도 감시기가 설치돼 있지만 이번에 쓰나미가 일어난 인도양에는 아무런 대비책이 없는 상태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992년에도 쓰나미 경보 시스템을 ... ...
새 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산맥으로 인정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는 데서 비롯된
잘못
된 주장이다.대동여지도의 산줄기는 분수계를 표시한 것이며, 옛 지리서인 ‘산경표’는 우리나라의 큰 강 10개를 중심으로 그 강들의 유역분지를 나누는 분수계를 족보식으로 서술한 것이다. 지리학을 전공한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존재할 수 없었다. 그리고 그런 전자기장을 관찰한 실험결과도 알려진 것이 없었다. 뭐가
잘못
된 걸까? 나는 상대운동의 원리와 맥스웰 이론 사이에 뭔가 근본적인 모순이 있다고 느꼈다. 아직 물리 지식이 깊지 않았던 나는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는 힌트를 찾은 것에 만족했다.취리히빛의 속도가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며 이론을 증명할 수 있는 실험 3개를 제시했다. 만일 실험이
잘못
되면 자신의 이론은 틀렸다는 것이다. 젊은 포퍼는 이 사건에 감동을 받았다. 그는 이처럼 ‘반증가능성’을 갖고 있는 이론만이 과학적인 이론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 주장은 ‘반증주의’라는 새로운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