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힘으로 세상을 정복하려는 나쁜 생각을 하고 있던 여섯 명의 과학자. 하지만 아직도
잘못
을 뉘우치지 않고 특수 비행선을 타고 사라져버렸다.“언젠가 다시 만날 것이다! 썰렁 홈즈! 그날까지 기다려라~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믿음을 버리고 올바르게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그 일환으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기생충에 대한 진실 몇 가지를 알아보자.기생충에 대한 진실 1 - 바다회의 진실양식이 아닌 자연산 민물회를 먹으면 기생충에 감염된다는 건 다들 알고 있다. 그렇다면 바다회는 어떨까. 짠 바닷물이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능할 지 모른다.“할아버지 패러독스는 과거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잘못
됐음을 알려주는 확실한 예입니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당신이 과거로 가서 당신의 어머니 또는 아버지가 태어나기 전에 (외)할아버지를 살해합니다. 그러면 당신은 어떻게 될까요? 당신은 태어날 수 없으니 바로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문이나 잡지에 이공계의 역할에 대한 글을 쓰고 한국물리학회의 교육위원장으로
잘못
된 과학교육을 바로잡는 일을 하는 등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도 많이 하고 있답니다.의사가 되고 싶었어어린 시절 교수님은 과학과 수학을좋아하고사회, 미술은 싫어하는 어린이였다고 해요.“원리를 알고 여러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겨울이겠지만 이곳 아르빌은 23℃을 넘나드는 봄날씨다. 배터리를 충전하다 전원을
잘못
연결해 롭해즈에 들어있는 영상보드가 고장나고 말았다. 다행히 롭해즈는 정상적으로 동작했지만 모니터 화면에서 영상이 나오지 않았다. 이번 파병에서 가장 큰 문제에 봉착했다.총선을 앞둔 이라크의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스며들어 있는데도 상당한 지식인조차 과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잘못
된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예를 들어 과학기술이 환경을 파괴하고 인간성을 황폐하게 만든다는 부정적인 견해는 과학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라는 것. 생명 복제, 원자력 발전, 유전자변형 작물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현상을 말한다. 요구나 태도에 의한 착시란 배가 고플 때 다른 그림을 음식물 그림으로
잘못
보는 현상을 가리킨다.달의 착시란 달이 하늘 높이 떠있을 때보다는 지평선 가까이에서 더 커 보이는 것으로 그 원인이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논문은 달의 착시현상은 인간의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 소행성을 관측할 기회는 2006년과 2029년 두 번 밖에 없다. 2029년까지 충돌 가능성을
잘못
계산하면 지구에 충돌할지도 모를 2036년까지 대책을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다행히 소행성 2004MN4은 궤도를 바꾸기가 비교적 쉽다. 우주선이 도달하기 쉬운 거리에 있어 기술적으로 달보다 착륙이 쉽다. 소행성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능한 우주비행사와 공학자들이 NASA를 떠나는 일도 발생했다. NASA는 예상된 위험에 대해
잘못
된 판단을 내림으로써 7명의 아까운 목숨과 명성을 한꺼번에 잃어버렸다.조사위원회는 우주왕복선 발사 결정 등에 우주비행사와 공학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것을 권고했다. 또 우주비행사의 탈출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증언한다. 책이나 영화에서 범죄자로 나온 흑인에 대한 기억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잘못
재구성해낸 것이다. 이를 ‘오기억’이라고 한다. 기대, 고정관념, 편견 등이 바로 오기억의 산물이다.교사가 새로운 지식을 가르친 다음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숙제를 내주면 학생은 기억한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