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인공위성 고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비용보다 비싸기 때문이다. 자동차로 치면 기름이 떨어질 때마다 차를 바꿔야 하는
셈
이다. 고장 난 부위를 수리하기도 힘들다. 이런 낭비를 줄이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정비부서(SSCO)는 인공위성의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하며 연료까지 공중급유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해 7월 21일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
이다.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획기적인 해결법이 등장해 토네이도의 이동 경로는 물론, 세상 모든 변화하는 것들을 속속들이 예측할 수 있게 될지. 편미분방정식의 앞으로 100년이 기대되는 이유다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22, 0, 1이 뒤를 이었다. 이 실험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 깊이는 대개 한 번 또는 두 번인
셈
이다.송 : 결론은 검은색 0을 낸 다음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상대의 수를 읽어서 2 또는 3을 내라는 건가.손 : 꼭 그렇지만은 않다.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게임 대부분이 이런 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며 상대의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사이에 화학 물질과 광물의 순환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말 그대로 ‘죽은 행성’인
셈
이다.목성은 사실 태양처럼 항성이 될 수도 있었다. 46억 년 전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질 당시만 해도 태양과 여타 행성들은 가스와 먼지가 뭉쳐진 덩어리였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태양이 급속도로 성장하기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것도 종 전체로 보면 이득일 수 있다. 적대적인 경쟁이 아니라 일종의 ‘공진화’를 한
셈
이다. 또한 성 갈등은 생식계통을 변화시켜 종 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됐을 수도 있다. 논문의 말미엔 이런 구절이 적혀있다. “성 갈등이 진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우린 아직 모른다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어두운 밤에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은 빛을 내는 버섯이 있어요. 바로 브라질의 코코넛 숲 속에 사는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이지요. 우리나라에선 주로 ‘ ... 더 많은 곤충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빛이 곤충을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
셈
이에요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2013년 김순욱 교수와 김정숙 박사의 연구 결과가 입증된
셈
이에요. 연구팀은 ‘앞으로 아기별이 왜 분출물의 방향을 바꾸는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어요.사람들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어떻게 진화하는지 등 신비한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어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전조가 되는 장면이 실험 속 ‘흰쥐’고, 귀신의 등장이 왓슨이 냈던 ‘쾅!’ 소리인
셈
이다.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고자 지난 7월 7일 김성필 UNIST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의 연구실에서 직접 뇌파 실험을 해봤다. 피실험자에게 공포영화 속에서 실제로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과 전조가 되는 장면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따르면 올해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25%다.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혼자 사는
셈
이다. 쿡방은 이런 ‘나홀로 식사족’들에게 맛있는 한 끼라는 힐링을 선사했다. 쿡방 중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의 특징만 봐도 쿡방이 특히 1인 가구에 어필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집구석에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관찰했다. 고대 이집트의 방부 기술이 얼마나 과학적이었는지 가장 확실하게 밝힌
셈
이다. 미라가 완성되기까지 총 7개월이 걸렸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가 서술한 것보다 2개월이 더 걸렸다. 연구소 환경이 이집트와 달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Q 어떻게 실제 다리로 미라를 만들겠다고 생각했나A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