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진동면은 약 32.7시간마다 완전한 원을 만들었다. 시계방향으로 매 시간 약 11°씩 회전한 셈이다. 이것은 지구가 자전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됐고, 이 실험은 푸코의 진자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알려졌다 ... ...
- 손님 차별? 사람따라 깎아주는 할인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영화관, 놀이공원, 백화점 등에서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수험표가 곧 할인쿠폰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수험생에게 할인을 해주는 이유가 무엇일까? 깎아주면 더 이득!그렇다면 가격차별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기업의 기본적인 목적인 이윤 추구와 관련이 있다. 가격차별이 어떻게 기업의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2차원이 아닌 3차원으로 분석한다. 우리가 xyz좌표 안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인지하는 셈이다. 아이폰6S에서 화면을 살짝 또는 세게 누를 때 기능이 달라지는 비결도 3차원 좌표로 터치를 구별하기 때문이다.수학으로 만드는 좋은 제스처일상에서 터치스크린이 많아지면서 제스처도 다양해졌다. ...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편집, 믹싱까지 한 번에 다하기 때문이다. 성능 좋은 SW 하나면 멋진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그런데 컴퓨터용 작곡 SW는 대부분 값이 비싸다. 그래서 일반인 사이에서는 작곡 애플리케이션이 각광받고 있다.2012년 MBC 무한도전 연말특집에서 박명수가 사용해서 일명 ‘박명수 앱’이라고 불리는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인체의 면역세포들에게 적발되지 않고 침입하려고 ‘눈 밑에 작은 점’을 찍는 행동인 셈이다.보통 독감 백신은 H와 N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해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그런데 이들 단백질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과거에 감염됐거나 백신을 맞아서 항체가 이미 있더라도 빠르게 면역 반응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체지방률은 20~25%이다.體質量指數 체질량지수(몸 체, 바탕 질, 헤아릴 량, 가리킬지, 셈 수)체질량지수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이다. ‘몸(體)의 바탕을 이루는(質) 양(量)을 측정하는 (指) 셈(數)’이라는 뜻이다.체질량지수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눠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2009년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세 그룹 가운데 ‘누가 누가 빨리 변했나?’를 분석한 셈인데, 결과는 물론 인간에게 잡아 먹혀 온 종이 월등했다. 야생 종에 비해 300%, 그리고 인간의 다른 영향을 받은 종에 비해 50% 빠른 속도로 변했다. 크기는 평균 20% 줄었고, 번식 주기는 25%씩 바뀌었다. 다리몬트 ...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거야!” 소녀는 그런 소년이 귀엽습니다. 소년의 권태기 극복 작전이 성공한 셈이네요. “좋아하는 연예인을 볼 때보다 사랑하는 연인을 볼 때 2배 더 활성화된다는, 행복감을 느낄 때 빛나는 그 부위 말이지? 그래, 그래. 나도 많이 사랑해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랩온어 칩으로 대략 파악하고 세부 검사나 치료에 돌입할 수 있다. 골든타임을 절약하는 셈이다. 또 여러 가지 시료를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다. 학술지 ‘네이처’는 랩 온어 칩을 ‘맥가이버 칼’에 비유하기도 했다.랩 온어 칩 기술은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했다.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처음과 똑같은 파장의 형태를 띤다. 2T초마다 정보를 열어 볼 수 있는 일종의 메모리인 셈이다. 광자 울림은 정지 빛보다 오래된 기술이다. 1960년대 처음 등장한 광자 울림은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고속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한때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낮은 재생효율과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