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점이 찍힌 패턴을 읽어 얼굴을 인식한다. 사용자가 주인이 맞는지 판별하는 것이다. 기존 스마트폰에 있는 보안 기능인 비밀자가 일일이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위로 그림을 그리거나 센서에 손가락을 갖다 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 X은 카메라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용해서 더 많은 신경망 층을 쌓음으로써 더 정확한 함수를 얻었다. 이런 효율화를 통해 기존의 알파고가 48개의 TPU(Tensor Processing Unit)칩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4개의 TPU 칩만으로 알파고 제로를 사흘 만에 학습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많은 사람들이 최근의 인공지능은 고성능 컴퓨터와 데이터만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파킨슨병 환자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기저핵 주변 신경들은 기존 학설대로 억제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곧 억제된 신경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 흥분 상태가 됐고(반발성 흥분), 이를 억제하자 파킨슨병이 사라졌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를 이용해 파킨슨병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존재하는 기술이 아니다. 최근 각종 나노소재를 적용한 복합재료가 개발되면서, 기존의 상식에서 벗어난 물질이 탄생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혁신적인 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하려면 나노소재 특유의 강점을 이끌어내는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나노복합재료의 방탄 특성을 정확히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하거나 물질의 속살을 파헤친다. 또 X선과 같이 파장이 매우 짧은 빛을 발생시켜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극미의 세계도 열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 5개 중 1개는 가속기를 이용한 연구’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가속기가 책상 위에 올릴 수 있을 만큼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뻐끔거릴 때 개 짖는 소리가 난다면 뇌는 이를 어떻게 인식할까. 식스 센스 팀은 기존 인식과 일치하지 않는 외부 자극이 무의식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해 직접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해 통계학도 공부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한국인지및심리학회’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화 게임이론에서 한 집단이 다같이 어떤 전략을 쓰고 있을 때, 새로운 전략으로 기존 전략을 바꾸지 못한다면 원래 전략을 진화적으로 안정하다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앞서 말한 원숭이 무리에서 사기는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이 아니며, 협력은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이 돼서 무리에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짧은 시간 안에 찾아줍니다. 앞으로 이 논문이 엄격한 검증을 거쳐 옳다고 판명 된다면, 기존 미해결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한 논문으로 남을 겁니다. 그렇다면 5500을 어디까지 줄일 수 있을까요? 저 또한 매우 궁금한데요, 이제 이런 알고리듬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으니 상수를 낮추는 연구가 ...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소음 차단벽이 기존과 달리 바람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소음이 특정 조건에서 회절 현상을 일으키며 퍼져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응용물리학저널’ 10월 17일자에 실렸다. doi:10.1063/1.499102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뤄졌다는 내용은 가장 먼저 의혹의 대상이 됐다. 에글리 교수는 논문에서 “이는 기존의 발달생물학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 부분에 대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부계와 모계의 염색체 한 쌍이 만나 온전한 하나의 세포를 이루기 전까지 정자와 난자는 각각 막에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